한 성분의 비율 용액에 녹아 있는 용질의 양을 나타내는 값 짙다/옅다 화학에서, 혼합물에서, 용액 안 용질의 비율 [[혼합물,mixture]]에서, 일반적으로 [[용액,solution]]에 존재하는 [[용질,solute]]의 상대적인 양 Sub ([[몰,mole]] '''농도''') [[몰농도,molarity]] (단위 M 또는 mol/L) [[몰랄농도,molality]] (단위 m 또는 mol/kg) 노르말농도? [[몰분율,mole_fraction]]? 표기 물질명을 대괄호로 싸면 농도인가? 몰농도인가? chk Sub: [[몰분율,mole_fraction]] { 균일한 혼합물에서, 각 성분의 양(mol)을 혼합물의 전체 양(mol)으로 나눈 값 (특정 성분의 몰 수) / (전체 성분 몰 수의 합) (특정 성분의 몰 수) / (혼합물 전체의 몰 수) 몰수 나누기 몰수이므로, 당연히 단위가 없음 각 성분의 '''몰분율'''을 모두 더하면 1 용질의 '''몰분율'''이 클수록 일정량의 용매에 녹은 용질의 양이 많으므로, '''몰분율'''도 농도의 의미를 포함. ---- Up: [[농도,concentration]] [[비율,rate]] [[몰,mole]] } [[질량백분율]] <- 여기로 아래 퍼센트농도 설명 중 대부분을 옮길 것 [[퍼센트농도]] { 단위: % 정의: 용액 100g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량(g) 또는 그냥 용질질량/용액질량 질량백분율 퍼센트 농도(%) = (용질의 질량(g))/(용액의 질량(g)) × 100 온도나 압력이 변해도 용매나 용질의 질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퍼센트농도도 변하지 않음 ---- 여기까지가 한국 고교 교과서의 퍼센트농도 설명이다. 질량백분율로 국한시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 사이트를 찾아본 바로는, percent concentration라는 단어가 잘 언급되지도 않으며, 이렇게 설명하고 있지는 않다. 보통 percent by mass, percent by volume을 구별하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게 명확하고 옳다. 다음과 같은 것들이 다 다르니까. * 질량 퍼센트 농도 * 부피 퍼센트 농도 * 입자수 퍼센트 농도 ([[몰분율,mole_fraction]] × 100%) 따라서 '퍼센트농도'라는 말 보다는 '질량퍼센트농도'라고 하는게 명확하지 않을까 싶다. ---- > %농도는 w/v (weight/volume) 또는 v/v (volume/volume)으로 표시를 해 주어야 한다. - TMP; 퍼옴. ---- 질량퍼센트농도 (wt/wt% 혹은 wt%) : 용액 100 g 속에 녹은 용질의 g 수 부피퍼센트농도 (vol/vol% 혹은 vol%) : 용액 부피 중에 녹아 있는 용질의 부피 } //퍼센트농도 %농도와 비슷한 것은.. ppm 농도: 용액 10^^6^^g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량(g) ppb 농도: 용액 10^^9^^g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의 질량(g) Up: [[농도,concentration]] } [[몰농도,molarity]] M [[몰랄농도,molality]] m 노말농도,노르말농도,normality n? N? 용액 1 L 당 용질의 g 당량수? 보통 몰농도에 수를 곱하여? <> = 여러 분율 w/w w/v v/v etc. = [[몰분율]]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5819&id=631 = 몰농도 = ([[몰농도,molarity]] M) = (용질 mol) / (용액 부피 L) 단위 부피당 몰 수 온도에 따라 달라짐 = 몰랄농도 = ([[몰랄농도,molality]] m) = (용질 mol) / (용매 질량 kg) 단위 질량당 몰 수 온도에 따라 변하지 않음 = 여러가지농도 = || ||정의 ||정의를 영어로 ||단위 ||단위(짧게) || ||몰 농도 ||용질/용액 ||solute/solution ||mol/L ||M || ||몰랄 농도 ||용질/용매 ||solute/solvent ||mol/kg ||m || ||퍼센트 농도 ||용질/용액 ||solute/solution || ||% || = 전자농도 electron concentration = [[전자농도,electron_concentration]] 단위 [[부피,volume]] 당 [[전자,electron]]의 수 이건 concentration 대신 density ([[밀도,density]])라는 표현도 쓰임. [[전자밀도,electron_density]] page mk? Google:전자밀도+electron.density 기호: $n_i$ density (or concentration) of electrons, i.e. the number of electrons per unit volume [[규소,silicon]]의 경우 $n_i=5.2\times 10^{15} T^{3/2}\exp \frac{-E_g}{2kT} \; \text{electrons/cm}^3$ 여기서 $E_g$ : [[띠틈에너지,bandgap_energy]] (curr see [[띠,band#s-2.1]]) $T$ : [[온도,temperature]] $k$ : [[볼츠만_상수,Boltzmann_constant]] 1.38 × 10^^−23^^ J/K (Razavi p12) QQQ 캐리어 농도로 분류?? or 전자가 캐리어로 작동하는 경우에만 이걸 캐리어 농도로 분류해야? = 캐리어 농도 carrier concentration = 운반자 농도, 나르개 농도 (kps) [[캐리어농도,carrier_concentration]] [[캐리어,carrier]] [[전자,electron]] ... 위 전자농도와 merge? [[양공,hole]] == intrinsic == 고유 운반자 농도, 고유 나르개 농도 intrinsic carrier concentration (kps) == 반도체에서 전자와 양공의 농도 == [[전도띠,conduction_band]] $E_c$ [[원자가띠,valence_band]] $E_v$ and [[페르미_에너지,Fermi_energy]] [[페르미_준위,Fermi_level]] curr. [[RR:페르미_에너지,Fermi_energy]] [[RR:페르미_준위,Fermi_level]] $E_F$ 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의 농도는 $n_0=N_c \exp\left( -\frac{E_c-E_F}{kT} \right)$ hole의 농도는 $p_0=N_v \exp\left( -\frac{E_F-E_v}{kT} \right)$ via 김성호 https://youtu.be/AaPvwS6PHss?t=608 = 불순물 농도 impurity concentration = [[반도체,semiconductor]] [[불순물,impurity]] [[도핑,doping]] = 농도기울기 concentration gradient = [[농도기울기,concentration_gradient]] AKA '''농도구배, ''' [[확산전류,diffusion_current]]의 크기는 캐리어 농도기울기에 비례한다. ([[캐리어,carrier]] [[캐리어농도,carrier_concentration]] [[기울기,gradient]]) See also [[확산계수,diffusion_coefficient]] Up: [[농도,concentration]] [[기울기,gradient]] ---- '''농도'''의 한계는 [[용해도,solubility]]? '''농도''' 차이로 인해 [[삼투압,osmotic_pressure]], [[삼투,osmosis]] 발생 See also [[수소이온농도지수,pH]] 같은 한국어단어, 다른 영단어: 집합론(see [[집합,set]])에서 '''농도'''는 cardinality임. (cardinality는 기수, 크기라고도 함.) 같은 영단어, 다른 뜻: 심리 쪽에서 concentration은 집중, 집중력 Twins: [[http://www.ndu.kr/wiki/농도]] [[WpKo:농도]] Up: [[비율,rate]] [[화학,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