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x)=a_n x^n + a_{n-1}x^{n-1}+\cdots+a_2x^2+a_1x+a_0$ $n\in\mathbb{Z}^*$ (n is a nonnegative integer) 일 때 [[함수,function|함수]] $P$ 를 '''다항식'''이라고 한다. * [[상수,constant|상수]] $a_0,a_1,\cdots,a_n$ 은 다항식의 [[계수,coefficient]]이다. * $a_n\ne 0$ 일 때, [[차수,degree]]는 $n$ 이다. 다항식 $P$ 의 차수가 $n$ 인 것을 식으로 나타내면 $\operatorname{deg}(P)=n$ 이다. ---- The sums of [[멱함수,power_function|power function]]s with nonnegative integer exponents. $P(x)=a_n\cdot x^n+a_{n-1}\cdot x^{n-1}+\cdots+a_1\cdot x + a_0 \qquad\qquad (a_n\neq 0)$ 여기서 $n$ : [[차수,degree]] - https://mathworld.wolfram.com/PolynomialDegree.html $x$ : [[변수,variable]] ---- 모든 '''다항식'''의 [[정의역,domain]]은 $\mathbb{R}=(-\infty,\infty)$ ---- '''다항식,polynomial'''은, [[단항식,monomial]](들)의 [[합,sum]]. '''다항식''' 중에서, 더해지는 [[항,term]]의 개수가 1이면 단항식. (이름과는 좀 맞지 않지만) (i.e. 다항식은 항상 '많은 수의 항, 여러 개의 항'이 아님. 단항식도 다항식의 일종. 다항식의 특수한 경우(항이 한 개인 경우)가 단항식.) ---- See also [[다항함수,polynomial_function]] { 다음과 같이 표현되는 함수 $P$ 를 '''다항함수'''라고 한다. $P(x)=a_nx^n+a_{n-1}x^{n-1}+\cdots+a_2x^2+a_1x+a_0$ 여기서 $n$ 은 음이 아닌 정수이고 $a_0,a_1,a_2,\ldots,a_n$ 은 상수로서 다항함수의 [[계수,coefficient]]라 한다. 임의의 다항함수의 정의역은 $\mathbb{R}=(-\infty,\infty)$ 이다. 최고차항 계수가 $a_n\ne 0$ 이면, 다항함수의 [[차수,degree]]는 $n$ 이다. 1차 다항함수는 일차함수(선형함수) 2차 다항함수는 [[이차함수,quadratic_function]] 3차 다항함수는 [[삼차함수,cubic_function]] (Stewart 8e 번역서) MKLINK [[다항식,polynomial]] 두 [[다항식,polynomial]] 또는 두 다항함수의 [[비,ratio]]는 [[유리함수,rational_function]] $f$ 가 $n$ 차(degree) 다항함수라면, $f$ 의 그래프는 최대 $n-1$ 개의 turning points(증감이 바뀌는 점)를 갖는다. CHK Up: [[다항식,polynomial]] [[함수,function]] } ---- 선형대수적 관점에서, [* https://www.youtube.com/watch?v=TgKwz5Ikpc8 7:50] [[공간,space]]: all polynomials [[기저,basis]] functions: $b_0(x)=1$ $b_1(x)=x$ $b_2(x)=x^2$ $b_3(x)=x^3$ $\vdots$ 그리고 이것들의 [[선형결합,linear_combination]]이 '''polynomial'''... ''QQQ 명칭이 [[기저함수]] ? Ndict:기저함수 ([[LCAO]]언급) Ggl:기저함수 WtEn:basis_function WpEn:basis_function ? ---- Sub: [[테일러_다항식,Taylor_polynomial]] [[특성다항식,characteristic_polynomial]] - [[특성방정식,characteristic_equation]]의 LHS [[직교다항식,orthogonal_polynomial]] - curr at [[직교성,orthogonality]] [[르장드르_다항식,Legendre_polynomial]] - writing [[최소다항식,minimal_polynomial]] - writing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5353&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최소다항식]]에는 다음 두 뜻이.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5354&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최소다항식(선형대수학)]]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5355&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최소다항식(체론)]] } [[라그랑주_다항식,Lagrange_polynomial]] - writing ... rel. [[보간,interpolation]] > [[라그랑주_보간,Lagrange_interpolation]] [[방데르몽드_다항식,Vandermonde_polynomial]] - [[방데르몽드_행렬,Vandermonde_matrix]]의 [[행렬식,determinant]]. (curr see [[행렬,matrix]]) [[monic_polynomial]] - 최고차항 계수가 1인 다항식. 작성중. [[Laguerre_polynomial]] - 작성중 [[Jacobi_polynomial]] - 〃 [[기약다항식,irreducible_polynomial]] - 〃 [[가약다항식,reducible_polynomial]] - 〃 [[다항식높이,polynomial_height]] (? tentative pagename) - w https://mathworld.wolfram.com/PolynomialHeight.html = TBW - 용어/분류 임시 = 다항식의 용어들이나 분류 - 서술예정, 개요만 간략히 적어둠 (고급수학.pdf p35) { 다항식 $f(x)=a_nx^n+a_{n-1}x^{n-1}+\cdots+a_1x+a_0$ where $n$ : 음이 아닌 정수, $\mathbb{Z}^\star$ $a_0,a_1,\cdots,a_n$ : $\mathbb{Q,R,C}$ 중 하나, 계수 에서, $a_n\ne 0$ 일 때, $\operatorname{deg}(f)=n$ : 차수 $a_n$ : 최고차항의 계수 $a_1=a_2=\cdots=a_{n-1}=a_n=0,$ 즉 $f=a_0$ 일 때 $f$ 는 '''상수다항식'''. $a_0\ne0$ 이면 $f$ 의 차수는 0 $a_0=0$ 이면 $f$ 의 차수는 -∞이며 $f$ 는 '''영다항식'''. $g=qf$ 만족시키면 $f$ 가 $g$ 를 나눈다고 하며 $f|g$ 로 나타냄. 이 때 $f$ 는 $g$ 의 '''약다항식''' $g$ 는 $f$ 의 '''배다항식''' 나눗셈정리 - 몫과 나머지가 유일하게 존재한다는.. 나머지정리 - $f(c)=0$ 이면 $f(x)=(x-c)q(x)$ 를 만족하는 $q(x)$ 가 유일하게 존재 최대공약다항식 기약다항식 - 곱으로 나타낼 수 없을 때.. 다항식의 인수분해 정리 - 다항식은 기약다항식들의 곱으로 표시되고 그 표시 방법은 유일.. 근본다항식 - 계수들을 모두 나누는 정수가 ±1 뿐일 때 가우스의 정리 - 다항식의 기약성에 관한 } = TBW : polynomial representation (by points?) = $(d+1)$ points uniquely define a degree $d$ polynomial https://www.youtube.com/watch?v=h7apO7q16V0 4:25 이건 아마도 '결정조건'? (note.txt에서 결정조건 검색) = 계산 알고리즘 - Horner's method = 호너_방법? [[Horner_method]] 다항식 $p(x)=a_n x^n + a_{n-1} x^{n-1} + \cdots + a_1 x + a_0$ 의 값을 계산(calculation, evaluation)할 때 연산을 줄이는 방법. 다음과 같이 변형하여 가장 안쪽 괄호부터 계산. $p(x)=(\cdots((a_n x + a_{n-1})\times x + a_{n-2})\times x + \cdots + a-1)\times x + a_0$ 단순한 방법으로는 $b_n=a_n\times x_0\times \cdots \times x_0$ (곱셈 $n$ 번) $b_{n-1}=a_{n-1}\times x_0\times \cdots \times x_0$ (곱셈 $n-1$ 번) $\vdots$ $b_2=a_2\times x_0\times x_0$ (곱셈 2번) $b_1=a_1\times x_0$ (곱셈 1번) $p(x)=b_n+b_{n-1}+\cdots+b_1+a_0$ 호너 방법으로는 $c_n=a_n\times x_0+a_{n-1}$ $c_{n-1}=c_n\times x_0+a_{n-2}$ $\vdots$ $c_3=c_4\times x_0+a_2$ $c_2=c_3\times x_0+a_1$ $p(x)=c_2\times x_0+a_0$ 이렇게 연산하게 되므로, 단순한 방법으로는 덧셈 $n$ 번과 곱셈 $n(n+1)/2$ 번, 호너 방법으로는 덧셈 곱셈 각각 $n$ 번. (컴퓨터 알고리즘, 박정호) WpKo:호너의_방법 [[WpEn:Horner's_method]] 다만 MW에서 쓰는 용어는 https://mathworld.wolfram.com/HornersRule.html 이다. https://mathworld.wolfram.com/HornersMethod.html 가 아니고. ''[[Date(2023-08-16T03:43:46)]]: found [[WtEn:Horner's_method]] & [[WtEn:Horner's_rule]]'' ''is_a 다항식평가 polynomial_evaluation ? { Up: [[다항식,polynomial]] [[평가,evaluation]] }'' = w = Sub: [[매듭다항식,knot_polynomial]] ---- Twins: https://en.citizendium.org/wiki/Polynomial https://mathworld.wolfram.com/Polynomial.html https://artofproblemsolving.com/wiki/index.php/Polynomial https://everything2.com/title/Polynomial Libre:다항식 http://oeis.org/wiki/Polynomials Up: [[식,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