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ndex TODO adjoint와 adjugate 제대로 구분 및 pagename 결정 참조: https://proofwiki.org/wiki/Definition:Adjugate_Matrix https://proofwiki.org/wiki/Definition:Adjoint_Matrix WtEn:adjoint WtEn:adjugate ---- AKA '''수반행렬''' ''이 페이지 이름은 adjugate로 바뀔 수도 있음'' [[행렬식,determinant]]과 함께 [[역행렬,inverse_matrix]]을 구하는 데 쓰임. 여인수행렬의 전치행렬. [[여인수,cofactor]]들로 주어진 행렬(여인수행렬?)의 [[전치행렬,transpose_matrix]]을 adjugate (또는 adjoint) 이라 한다. [[여인자행렬,cofactor_matrix]]의 전치행렬. ---- (정의) A를 $n\times n$ 인 행렬이라 하자. A의 원소들에 대응하는 [[여인수,cofactor]]들로 된 행렬의 [[전치행렬,transpose_matrix]] $\begin{bmatrix}C_{11}&C_{12}&\cdots&C_{1n}\\C_{21}&C_{22}&\cdots&C_{2n}\\\vdots&&&\vdots\\C_{n1}&C_{n2}&\cdots&C_{nn}\end{bmatrix}^T=\begin{bmatrix}C_{11}&C_{21}&\cdots&C_{n1}\\C_{12}&C_{22}&\cdots&C_{n2}\\\vdots&&&\vdots\\C_{1n}&C_{2n}&\cdots&C_{nn}\end{bmatrix}$ 을 A의 '''딸림행렬(adjoint matrix)'''이라 하고 이것을 adj A로 표시한다. (정리: 딸림행렬로 나타내는 역행렬) A가 $n\times n$ 행렬이라 하자. det A ≠ 0이면, [[역행렬,inverse_matrix]]은 다음과 같다. $A^{-1}=\left(\frac1{\det A}\right)\operatorname{adj} A$ (Zill 6e ko p505) ---- 행렬 $A$ 의 역행렬은 $A^{-1}=\frac{1}{\det(A)}\textrm{adj}(A)$ ...... $A^{-1}=\frac1{|A|}\operatorname{adj}A$ adj는...??? see [[MIT_Multivariable_Calculus#s-3]] <> = 매우 다양한 표현, adjoint and adjugate = 일단, adjugate vs adjoint 단어가 비슷해서 혼동하기 쉽다. adjugate가 더 맞는 것 같은데... 일단 페이지명은 adjoint로 한다. 크게 중요한 것은 아닌 것 같다. 줄여서 adj인데 이게 둘 다에 해당해서 참 난감하다. (아무튼 현재는 cofactor matrix의 transpose matrix만 다루고 복소수+전치의 통합 같은 건 안 다룬다.) ---- 대한수학회 사이트에 따르면, adjoin 인접하다, 첨가하다 adjoint 수반된, 딸린 adjoint matrix 수반행렬, 딸림행렬 adjunction 첨가 (adjugate 검색결과 현재 없음. 네이버 사전 adjugate 검색결과는 adjoint와 같다는 아무 도움 안 되는 ...) ---- Wikipedia에 따르면, { from WpEn:Adjugate_matrix adjugate matrix = classical adjoint matrix = transpose of its cofactor matrix = 여인자행렬의 전치행렬 가끔은 adjunct라고 하나, 현재는 별로 쓰이지 않는다고. from WpKo:고전적_수반_행렬 = classical adjoint matrix = adjugate matrix from WpKo:켤레전치 = conjugate transpose = 에르미트 전치 = Hermitian transpose = 에르미트 수반 = Hermitian adjoint = WpKo:수반_행렬 = adjoint matrix = 딸림 행렬 [[전치행렬,transpose_matrix]]을 취한 뒤, 성분별로 켤레복소수를 취해서 얻는 행렬. 실수 행렬의 전치 행렬과 복소수의 켤레 복소수의 공통적인 일반화. 따라서, Wikipedia는 adjugate = classical adjoint = 고전적 수반 adjoint = 수반 의 용어를 쓴다. 하지만 대개의 웹페이지들은 용어는 후자의 것만 쓰고, 내용은 Wikipedia에서 classical하다고 분류한 전자를 다룬다. 엄밀하게 따지는 사람에겐 매우 골치아픔. } ...... from https://wikidocs.net/76267 4. 소행렬식과 여인자와 수반행렬 2. 수반행렬과 이를 이용한 역행렬 계산 { n차 정사각행렬 $A=[a_{ij}]$ 의 성분 $a_{ij}$ 에 대한 [[여인수,cofactor]]를 $A_{ij}$ 라 할 때, 행렬 $[A_{ij}]^t$ 를 A의 수반행렬(adjugate, adjunct 또는 classical adjoint matrix) 이라 하고, adjA로 나타냅니다. } = adjoint = [[수반행렬,adjoint_matrix]] { 기호: CHK... $A^{\star}$ (star) $A^{\ast}$ (ast) $A^{\rm H}$ $A^{\dag}$ 밑에 따르면 표현이 엄청 많다 ....... from WpKo:켤레전치 : 켤레전치(conjugate transpose) 에르미트 전치(Hermitian transpose) 에르미트 수반(Hermitian adjoint) 이것들은 모두 같은 말이며, 전치행렬을 구한 다음 성분별 켤레복소수 적용한 행렬. } https://everything2.com/title/adjoint == self-adjoint == [[WpEn:Self-adjoint]] aka Hermitian rel. [[에르미트_행렬,Hermitian_matrix]]? - Yes. self-adjoint_matrix = [[에르미트_행렬,Hermitian_matrix]] ''self-adjoint self-adjoint_operator 작성중.'' [[Srch:self-adjoint]] https://mathworld.wolfram.com/Self-AdjointMatrix.html = adjugate = [[adjugate_matrix]] { AKA '''classical adjoint''' 표기 adj(A) [[역행렬,inverse_matrix]]을 A^^-1^^ = (1 / det(A)) adj(A)로 구할 수 있다. AKA 딸림행렬 - src? } = 수학백과 - 크라머의 법칙 = [[크라메르_공식,Cramer_s_rule]]에 대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365&cid=47324&categoryId=47324 의 40% 쯤에 > 수반행렬(classical adjoint matrix, adjugate matrix) 정의 참조. = Misc = adjugate 단어의 첫 사용은 Charles Lutwidge Dodgson (Lewis Carroll). [[https://hsm.stackexchange.com/questions/2605/the-terminologies-adjoint-and-adjugate src]] https://everything2.com/title/adjoint https://everything2.com/title/adjoint+matrix ---- Up: [[행렬,matr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