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는 [[단어_미분]](goto [[미적분,calculus#s-3]])의 여러 뜻 중 '''도함수'''를 얘기 // RENAMETHISPAGE? $f$ 의 '''도함수'''는 $f'$ 로 표기하며, 다음 [[극한,limit]]으로 정의됨 $f'(x)=\lim_{h\to0}\frac{f(x+h)-f(x)}{h}$ 이게 존재하면 "f is differentiable at x"라고 함. [[미분,differentiation]]은 '''도함수'''(derivative)를 찾는 행동. $x=a$ 로 두면, $f'(a)$ 는 [[점,point]] $(a,f(a))$ 에서 [[접선,tangent_line]]의 [[기울기,slope]]. 함수 $y=f(x)$ 의 $x=a$ 에서의 [[미분계수,differential_coefficient]]는 $f'(a)$ 임. '''도함수'''를 찾기 전단계의 함수가 원시함수. 원시함수는 하나만 존재하지 않고 임의의 상수를 더한(상수의 차이) 만큼만 다른 무한개가 있음. 즉 임의의 두 원시함수의 차이는 상수만큼임. - 관련: [[적분,integration]] Sub: 일계도함수 Srch:first_derivative (ex. [[속도,velocity]]는 시간에 대한 [[변위,displacement]]의 일계도함수.) https://proofwiki.org/wiki/Definition:First_Derivative 이계도함수 Srch:second_derivative WpKo:이계도함수 WpEn:Second_derivative https://proofwiki.org/wiki/Definition:Second_Derivative (ex. [[가속도,acceleration]]는 시간에 대한 [[변위,displacement]]의 이계도함수, [[속도,velocity]]의 일계도함수.) [[편미분,partial_derivative]] [[방향도함수,directional_derivative]] [[전미분,total_derivative]] [[logarithmic_derivative]] 로그미분 or 로그도함수 { see also [[로그함수,logarithmic_function#s-4]] rel. WpEn:Logarithmic_differentiation [[WpEn:Logarithmic_derivative]] } [[functional_derivative]] 범함수미분? 범함수도함수? // (tmp) kms functional derivative => https://www.kms.or.kr/mathdict/list.html?key=ename&keyword=functional+derivative 도함수(=[[미분,derivative]])의 일반화. [[변분법,variational_calculus]]에 등장. 여기선 [[함수,function]]를 [[변수,variable]]에 대해 [[미분,differentiation]]하는 대신에, [[범함수,functional]]를 [[함수,function]]에 대해 미분한다. (MW) https://mathworld.wolfram.com/FunctionalDerivative.html https://ncatlab.org/nlab/show/functional+derivative [[WpEn:Functional_derivative]] … Google:functional+derivative [[Frechet_derivative]] 프레셰_도함수? '''Fréchet derivative''' [[전미분,total_derivative]]을 [[바나흐_공간,Banach_space]] = complete_normed_space 로 일반화한 것. https://freshrimpsushi.github.io/posts/frechet-derivative/ WpKo:프레셰_도함수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Fréchet_derivative - ''strong derivative'' https://mathworld.wolfram.com/FrechetDerivative.html https://ncatlab.org/nlab/show/Fréchet+derivative … Google:frechet+derivative [[Gateaux_derivative]] '''Gâteaux derivative''' 가토 도함수 via https://www.kms.or.kr/mathdict/list.html?key=ename&keyword=gateaux [[방향도함수,directional_derivative]]의 일반화? chk https://mathworld.wolfram.com/GateauxDerivative.html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Gâteaux_derivative - ''weak derivative'' … Google:gateaux+derivative 위 둘 {Gateaux, Frechet} derivative에 대한 한국어 글 - https://elementary-physics.tistory.com/52 [[Radon-Nikodym_derivative]] - writing 도함수의 일반화 - WpEn:Generalizations_of_the_derivative ex. [[subderivative]] - [[볼록해석,convex_analysis]] 쪽에서 사용하는 derivative의 일반화? curr at Srch:subgradient [[weak_derivative]] - WpKo:약도함수 WpEn:Weak_derivative <> = 고계도함수 (high order derivatives) = $y'$ = the first derivative of y $y''$ = the second 〃 $y'''$ = the third 〃 ... $y^{(n)}$ = the nth 〃 2nd derivative test: third derivative test : [[변곡점,inflection_point]]과 관련.... TBW == 일계도함수 == rel. [[일계도함수판정법,first_derivative_test]] == 이계도함수 second derivative, second order derivative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331&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이계도함수]] 당연히...뻔한얘기 함. 다음과의 관계. [[가속도,acceleration]] [[오목볼록,concave_and_convex]] 극점 { [[극값,extremum]] [[극점,extreme_point]] or [[극점,extremal_point]] : [[극대,local_maximum]] [[극소,local_minimum]] [[극대점]] [[극소점]] [[극대값]] [[극소값]] ...? } rel. [[이계도함수판정법,second_derivative_test]] == 고계도함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239&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고계미분계수]] 참조.... 단 저기 설명 대상이 고계도함수가 아니라 고계미분계수 임에 주의 = 미분공식들 = 상수함수의 도함수는 0 $\frac{d}{dx}c=0$ 항등함수의 도함수는 1 $\frac{d}{dx}x=1$ [[지수함수,exponential_function]]의 도함수는 자기 꼴이 그대로 포함 $\frac{d}{dx}a^x=a^x\ln a$ [[로그함수,logarithmic_function]]의 도함수는 분수 형태 $\frac{d}{dx}\log_a x=\frac1{x\cdot\ln a}$ $\frac{d}{dx}\ln x=\frac1{x}$ $\ln x$ 와 $\ln(-x)$ 의 도함수가 같음 $ y = \ln|x| \quad \Rightarrow \quad y ' = \frac1x $ $ \left( x<0: \quad y=\ln(-x), \quad y' = \frac{(-x)'}{-x} = \frac1x\right)$ 곱의 미분법(두 함수의 곱의 미분법)의 다른 이름은 라이프니츠 정리, 라이프니츠 법칙.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259&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라이프니츠 정리]] 이 식을 적분하면 바로 [[부분적분,integration_by_parts]]방법이 됨. Derivative Product Rule: $u,v$ 가 $x$ 에서 미분가능하면 $uv$ 도 미분가능하며 $\frac{d}{dx}(uv)=u\frac{dv}{dx}+v\frac{du}{dx}$ $(uv)'=uv'+vu'$ (in prime notation) $\frac{d}{dx}[f(x)g(x)]=f(x)g'(x)+g(x)f'(x)$ (in function notation) (Thomas 11e) 몫의 미분법(두 함수의 분수 꼴의 미분법)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5076&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몫의 미분법]] Derivative Quitient Rule $u,v$ 가 $x$ 에서 미분가능하고 $v(x)\ne 0$ 이면 [[몫,quotient]] $u/v$ 도 $x$ 에서 미분가능하며 $\frac{d}{dx}\left(\frac{u}{v}\right)=\frac{v\frac{du}{dx}-u\frac{dv}{dx}}{v^2}$ $\frac{d}{dx}\left[\frac{f(x)}{g(x)}\right]=\frac{g(x)f'(x)-f(x)g'(x)}{g^2(x)}$ (in function notation) (Thomas 11e) 합성함수의 미분법 $y=f(u),\; u=g(x)$ 가 미분 가능하면 $\frac{dy}{dx}=\frac{dy}{du}\cdot\frac{du}{dx}=f'(u)\cdot g'(x)=f'(g(x))g'(x)$ See [[연쇄법칙,chain_rule]] 매개변수로 표현된 함수의 미분법 $x=f(t),\;y=g(t)$ 일 때 $\frac{dy}{dx}=\frac{\frac{dy}{dt}}{\frac{dx}{dt}}=\frac{g'(t)}{f'(t)}$ 역함수의 미분법 $y=f(x)$ 가 미분 가능하고 $f(a)=b$ 일 때 $(f^{-1})'(b)=\frac{1}{f'(f^{-1}(b))}=\frac{1}{f'(a)}$ CHK WHY ...... [[역함수,inverse_function]]의 도함수 { 함수 $f$ 가 미분가능하고 역함수 $g=f^{-1}$ 를 가지면, $\frac{d}{dx}\left[f^{-1}(x)\right]=g'(x)=\frac1{f'(g(x))$ 단, $f'(g(x))\ne 0$ 증명: [[RR:역함수의_도함수(미분)_증명]] } ''tmp from https://blog.naver.com/dydrogud22/110189290591 맨아래'' { $f(g(x))=x,\;g(x)=f^{-1}(x)$ 이고 기타 미분가능 등 조건들 성립하면 $\frac{d}{dx}f(g(x))=\frac{d}{dx}x$ $f'(g(x))g'(x)=1$ $f'(g(x))\ne0$ 이면, $g'(x)=\frac{1}{f'(g(x))}$ $(f^{-1})'(x)=\frac{1}{f'(f^{-1}(x))}$ } 역삼각함수의 미분법 $\frac{d}{dx}\sin^{-1}x=\frac1{\sqrt{1-x^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