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반응 속도''' 기호: $r$ (rate에서 유래한 듯) $v$ $\textrm{rate}$ 화학 반응의 빠르고 느린 정도 (반응속도) = (반응물질의 농도 감소량) / (시간의 변화) = (생성물질의 농도 증가량) / (시간의 변화) Rate = ΔC / Δt ![M/s] '''반응속도'''(reaction rate) = Δ(concentration) / Δt $\textrm{rate}=-\frac{\Delta [\textrm{A}]}{\Delta t}=k[{\rm A}]^m[{\rm B}]^n$ 단위: M/s (초당 [[몰,mole]]이 아니고, 초당 [[몰농도,molarity]]임에 주의) mol/(L·s), mol L^^-1^^ s^^-1^^ 1 M = 1 mol/L 이므로, 1 M/s = 1 mol/L·s CHK CLEANUP { 단위 [[시간,time]]당 생성물의 [[농도,concentration]] 증감 $\pm\frac{\Delta [{\rm A}]}{\Delta t}$ 반응속도는 편의상 항상 양으로 함. (반응물일 경우 음의 [[부호,sign]]를 붙임, 생성물일 경우 붙이지 않음) 여기에 각 성분의 반응식에서의 계수로 나누어 줌. (성분마다 반응 속도가 다르게 정의되면 불편하므로?) } = 물질의 반응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농도,concentration]] (반응물들의) 반응하려면 충돌해야 하고, 그러려면 서로 만나야 함. [[온도,temperature]] (반응이 일어나는) 반응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에너지를 가지고 충돌해야 함. 반응물의 물리적 상태 physical state (섞여 있는지, 잘 섞여 있는지 등) 균일(homogeneous)반응 : 반응물이 모두 기체 or 모두 액체 불균일(heterogeneous)반응 : 반응물에 서로 다른 상, 반응물이 접촉하는 부분에서 반응이 일어남 표면적 [[촉매,catalyist]] 등 = 반응식 계수 혹은 화학량론과의 관계 = 간단한 반응을 예로 들면, 2A → B 에서는 반응물 A가 2몰 없어질때마다 생성물 B가 1몰 생기므로 '''rate'''는 두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textrm{rate}=-\frac12\frac{\Delta[{\rm A}]}{\Delta t}$ $\textrm{rate}=\frac{\Delta [{\rm B}]}{\Delta t}$ 일반화하면, ## from 연대 슬라이드 https://chem.yonsei.ac.kr/chem/upload/CHE1002-04/112650160040344.pdf and Masterton 7e aA+bB→cC+dD 에서, $-\frac{\Delta[{\rm A}]}{a}=-\frac{\Delta[{\rm B}]}{b}=\frac{\Delta[{\rm C}]}{c}=\frac{\Delta[{\rm D}]}{d}$ 이고 양변을 $\Delta t$ 로 나누면 $\text{rate}=\frac{\Delta[\textrm{C}]}{c\Delta t}=\frac{\Delta[\textrm{D}]}{d\Delta t}=\frac{-\Delta[\textrm{A}]}{a\Delta t}=\frac{-\Delta[\textrm{B}]}{b\Delta t}$ ## /from See also [[화학량론,stoichiometry]] = 속도법칙(rate law)과의 관계 = 속도상수와 반응물 농도와 '''반응속도'''의 관계. 반응식 $a{\rm A}+b{\rm B}\to c{\rm C}+d{\rm D}$ 의 '''반응속도'''는 [[속도법칙,rate_law]]에 의해 $\textrm{rate}=k[{\rm A}]^x[{\rm B}]^y$ 의 관계를 갖는다. 여기서 $k$ : [[속도상수,rate_constant]] $x,y$ 는 실험에 의해 결정되는 반응차수(order). 아래 참조. = 반응속도식 rate equation = ## from zum 학습백과 '반응 속도식' http://study.zum.com/book/13565 ex. 반응식 aA+bB→cD+dD 에서 반응속도 $v$ 는 $v=k [{\rm A}]^m [{\rm B}]^n$ 여기서 $k:$ 반응속도상수, 반응물의 농도와 무관, 온도에 의해 변함 (See [[속도상수,rate_constant]]) $m,n:$ 반응차수(individual reaction order) $m:$ A에 대한 반응차수 $n:$ B에 대한 반응차수 $m+n:$ 전체반응차수(overall reaction order) ex. $m=1, n=2$ 이면, 반응은 (the reaction is) A에 대해 1차 (first-order in A) B에 대해 2차 (second-order in B) 전체에 대해 3차 (third-order overall) ## 표현from Masterton 7e p336 0차 반응 반응속도식은 v=k![A]^^0^^=k 1차 반응 반응속도식은 v=k![A] 2차 반응 ## /from ---- ## from namuwiki 화학 반응 속도론 https://namu.wiki/w/%ED%99%94%ED%95%99%20%EB%B0%98%EC%9D%91%20%EC%86%8D%EB%8F%84%EB%A1%A0 반응식이 aA + bB → cC + dD 일 때, 반응속도 v는 $v=-\frac1a \frac{d[{\rm A}]}{dt}=-\frac1b \frac{d[{\rm B}]}{dt} = \frac1c \frac{d[{\rm C}]}{dt} = \frac1d \frac{d[{\rm D}]}{dt}$ 반응이 일어날 경우 각 물질의 시간당 몰수변화가 모두 다른데, 이것은 하나의 반응에 대해서 반응속도를 하나로 통일하기 위해 각 물질의 계수(?)로 나눈 것임. aA+bB→cC 의 반응속도식은 일반적으로 v=k![A]^^m^^![B]^^n^^ ## /from ---- WpEn:Rate_equation WpKo:반응_속도식 (반응속도법칙도 이 페이지에 통합) ---- 밀접: [[속도상수,rate_constant]] [[속도법칙,rate_law]] Up: [[비율,rate]] [[반응속도론,chemical_kinetics]] [[반응,rea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