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n차 정사각행렬 A에 대해, 다음을 만족하는 B가 있으면 A는 가역(invertible)이다. AB=I,,n,,=BA 이 때 B를 A의 '''역행렬(inverse matrix)'''이라 하며, 이러한 B가 없으면 A는 비가역(noninvertible)이다. 표기: A의 역행렬 = A^^−1^^ 따라서 AA^^−1^^=A^^−1^^A=I 관련: [[가역행렬,invertible_matrix]] A는 det(A)≠0일 때에만 '''역행렬'''을 가진다. '''역행렬'''이 존재한다면 유일하다(unique). // [[유일성,uniqueness]] [[영행렬,zero_matrix]]의 '''역행렬'''은 존재하지 않는다. $\not\exists O^{-1}$ - chk 행렬의 곱셈에 대한 [[역원,inverse_element]]. CHK { 행렬 A의 역행렬은 $A^{-1}=\frac1{\det A}\operatorname{adj}A$ det : [[행렬식,determinant]] adj : 수반행렬=[[딸림행렬,adjoint_matrix]] } <> = TMP CHK = 용어가 난립하고 혼란스러워서 대대적 정리 및 비교표 필요 ex. singular/nonsingular/정칙/비정칙/가역/비가역/invertible/inverse/.... { invertible matrix = nonsingular matrix AB=BA=I 여기서 A, B는 둘 다 invertible(=nonsingular) 행렬에 속함. 그리고 A, B는 서로 inverse matrix임. A는 있는데 위 식을 만족하는 B가 존재하지 않으면, A는 singular matrix에 속함. nonsingular matrix의 inverse matrix는 유일함. i.e. nonsingular matrix는 단 하나의 inverse matrix를 가짐. (아래 밑에 증명까지 적어놓은 게 있네.) 역행렬의 조건: A가 nonsingular matrix일 필요충분조건은 A의 determinant가 0이 아니라는 것. i.e. det(A)≠0 } from https://beckho.tistory.com/88 CHK [[http://kocw-n.xcache.kinxcdn.com/data/document/2016/hanbat/kimdongsoo/7.pdf p32]] { ||역행렬을 갖는 경우 ||[[정칙행렬,regular_matrix]] ||nonsingular matrix|| ||역행렬을 갖지 않는 경우||[[특이행렬,singular_matrix]] ||singular matrix || A가 n×n행렬일 때 ||$\exists A^{-1}$ ||rank(A)=n ||A는 정칙행렬 ||det(A)≠0 || ||$\not\exists A^{-1}$ ||ran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