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저항'''(electrical resistance) 기호 R 단위 Ω (ohm) 1 Ω : 도선 양끝에 1 V의 전압을 주었을 때 1 A의 전류가 흐르는 전기저항 [[옴_법칙,Ohm_law]]에 의하면 V = I R 전압 = 전류 × '''저항''' [[전압,voltage]] = [[전류,electric_current]] × '''저항,resistance''' 저항의 역수는 [[컨덕턴스,conductance]] G ([[컨덕티버티,conductivity]] σ 가 아님) 수식으로는 G = 1 / R 저항은 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모양에 따라서도 달라진다. 반면 [[비저항,resistivity]]은 같은 물질에 대해선 고유하다. 저항은 물체의 성질이다. 물질의 성질은 [[비저항,resistivity]]이다. 실제 기기는 [[저항기,resistor]]. 전류가 저항기를 통과하면 IR만큼 전위가 낮아진다. (저항기에서의 전압강하) 직류-저항에 해당하는 게 [[교류,AC]]의 [[임피던스,impedance]](Z)인가? [[리액턴스,reactance]]? CHK [[교류회로,AC_circuit]]에서 저항은 [[임피던스,impedance]]의 실수 부분 회로/스위치/circuit와 관련하여, 특수한 경우(?) ||저항 값 || || ||[[컨덕턴스,conductance]] || ||0 ||short circuit ||short(단락), 완전도체(완벽한 [[도체,conductor]]) ||G=∞ || ||∞ ||open curcuit ||open(개방), 완전부도체(완벽한 nonconductor/insulator) ||G=0 || Q: [[기전력,electromotive_force,emf]] 장치 내부의 저항을 [[내부저항,internal_resistance]]이라고 부르는가? [[TableOfContents]] = 도선의 저항 = 길이가 길면 저항이 커지고, 길이가 짧으면 저항이 작아진다. 굵기가 굵으면 저항이 작아지고, 가늘면 저항이 커진다. 즉 '''저항'''은 길이에 비례하고, 단면적에 반비례한다. 길이가 L이고 단면적이 A인 도선/[[도체,conductor]]의 '''저항'''은 $R=\rho\frac{L}{A}$ where ρ: [[비저항,resistivity]] L: 도선의 길이 A: 단면적 또는 이런 기호도 쓰임. $R=\rho\frac{\ell}{S}$ where ρ: 비저항 ℓ: 길이 S: 단면적 = 저항resistance vs 비저항resistivity +전도율conductance +전도도conductivity 비교표 = || ||'''저항,resistance''' ||[[비저항,resistivity]] ||전도율=[[컨덕턴스,conductance]] ||전도도=[[컨덕티버티,conductivity]] || ||기호 ||R ||ρ ||G ||σ || ||단위 ||Ω ||Ω·m ||S, Ω^^-1^^, ℧ ||S/m, 1/(Ω·m), Ω^^-1^^ m^^-1^^ || R↔G, ρ↔σ는 역수 관계. R, G는 물체의 성질, ρ, σ는 물질의 성질. (단어 철자 Tip: R, G는 -ance, ρ, σ는 -ivity의 suffix를 가짐) R, ρ는 얼마나 전류를 방해하느냐, G, σ는 얼마나 전류가 잘 흐르느냐, 이런거? CHK $R=\rho\frac{L}{A}$ 이 때 계수 ρ도 물질에 따라 다르다... = static vs dynamic = [[옴_법칙,Ohm_law]] $v=Ri$ 에서 $R=\frac{v}{i}$ (static resistance) v-i 그래프에서 기울기가 R으로 일정. 선형저항 linear resistor. 이 회로는 선형회로 linear circuit라 함. ---- 전압이 전류에 대해 비선형적일때 $v=f(i)$ $r=\frac{dv}{di}$ (dynamic resistance) 비선형저항 nonlinear resistor ---- i.e. 표를 그리면, ||전압이 ||$v=Ri$ (비례, 선형) ||$v=f(i)$ (함수) || ||그러면 저항은 ||$R=\frac{v}{i}$ ||$r=\frac{dv}{di}=\frac{df(i)}{di}$ || ||즉, ||static resistance ||dynamic resistance || ||[[저항기,resistor]]는 ||linear resistor ||nonlinear resistor ||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265126 src]] 3강(수동소자) 7분 = 합성저항: 저항의 직렬 연결 = n개의 저항이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합성 저항은 $R=R_1+R_2+\cdots+R_n$ = 합성저항: 저항의 병렬 연결 = tmp { 세 갈래로 되어 있다면, 전류가 나뉘어서 흐르므로, $i=i_1+i_2+i_3$ 그리고 전위차는 같으므로, $\frac{V}{R}=\frac{V}{R_1}+\frac{V}{R_2}+\frac{V}{R_3}$ 따라서 $\frac1R=\frac1{R_1}+\frac1{R_2}+\frac1{R_3}$ $\frac1R=\sum_i \frac1{R_i}$ } 가장 많이 쓰는 식은 아마 두 저항의 병렬연결 $R=\frac{R_1R_2}{R_1+R_2}$ 물론 이것은 다음 식에서 나옴 $\frac1R=\frac1{R_1}+\frac1{R_2}$ 보다 일반적으로는, 병렬 [[가지,branch]]의 수에 관계없이, $\frac1{R_T}=\frac1{R_1}+\frac1{R_2}+\frac1{R_3}+\cdots$ 세 저항의 병렬연결은 $\frac1{R}=\frac1{R_1}+\frac1{R_2}+\frac1{R_3}$ 이것을 정리하면 $R=\frac{R_1R_2R_3}{R_1R_2+R_2R_3+R_3R_1}$ 저항의 병렬 연결은 식이 [[역수,reciprocal]]로 되어 있으므로, [[컨덕턴스,conductance]] $G$ 를 쓰면 식이 더 간단해짐. $G=G_1+G_2+G_3$ ---- CHK $n$ 개의 저항이 병렬로 이어졌을 때 합성저항 $R_0$ 를 구하는 방법은 각 저항의 역수를 모두 더한 것의 역수를 구하는 것. $R_0=R_1||R_2||R_3||\ldots||R_n=\frac1{\frac1{R_1}+\frac1{R_2}+\frac1{R_3}+\cdots+\frac1{R_n}}$ 이 때 전체 전류는 각 저항을 흐르는 전류의 합과 같으며 (당연) $I=I_1+I_2+I_3+\ldots+I_n$ 전압은 일정 (당연) $V=V_1=V_2=V_3=\ldots=V_n$ ## http://teachingsaem.co.kr/Tbook/h_jeongi_hoelo/h_jeongi_hoelo.html#p=120 p119 = 저항과 온도 = [[비저항,resistivity]]의 경우 $\rho=\rho_0\left(1+\alpha(T-T_0)\right)$ 저항의 경우 $R=\rho\frac{\ell}{A}$ 이므로 $R=R_0\left(1+\alpha(T-T_0)\right)$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 이하?/미만?에서 '''저항'''이 0이 됨 도체는 [[온도,temperature]]가 높아질수록 저항이 증가한다. 내부 원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전자 흐름을 방해하므로. 반도체는 그렇지 않음. TBW = 내부저항,internal_resistance = [[전류계,ammeter]]의 내부저항은 0인 것이 이상적이다. [[전압계,voltmeter]]의... 무한? tmp 송종현 { [[전원,source]]?전지?의 내부저항을 r이라고 하는 듯. 저항이 R 하나 있는 단일고리회로에서 $\mathcal{E}-ir-iR=0$ $\mathcal{E}=i(r+R)$ $i=\frac{\mathcal{E}}{r+R}$ } = 부하저항 load resistance = = 음성저항 negative resistance = [[음성저항,negative_resistance]] - curr [[옴_법칙,Ohm_law]]페이지 맨아래 ---- Twins: [[WpEn:Electrical_resistance_and_conductance]] Up: [[전자기학,electromagne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