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A '''정전용량, 커패시턴스, 캐패시턴스''' 기호 C 단위 F (farad) 1F = 1C/V 매우 큰 단위라서 μF, nF, pF가 쓰인다. 커패시터([[축전기,capacitor]])에 축적되는 전하량(Q)은 전압(V)이 높을수록, '''커패시턴스'''가 클수록 많이 축적된다. $Q = C V$ $C = \frac{Q}{V}$ 여기서, 단위는 1F = 1C/V Q는 [[전하,electric_charge]]의 양 V는 [[전압,voltage]] 같은 뜻의 다른 표현은 $C=\left|\frac{q}{\Delta V}\right|$ $C\equiv\frac{Q}{\Delta V}$ 1 F ≡ 1 C/V 저장되는 에너지는 $E=\frac12CV^2$ CHK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 평행판 축전기 정전용량(=전기용량)은, 유전율이 클 수록([[분극,polarization]] 정도가 심해질수록), 판 면적(S)이 넓을수록, 판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커진다. $C=\varepsilon\frac{S}{d}$ 여기서 ε: [[유전율,permittivity]] S: 극판의 면적 d: 극판 사이의 거리 또는 $C\propto \frac{\varepsilon A}{d}$ ----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 용량 유도법 $E=\frac{E_0}{\kappa}=\frac{V}{d}$ 축전기 내부 [[전기장,electric_field]]은 $E_0=\frac{q}{\epsilon_0A}$ 위에 대입하면 $\frac{q}{\kappa\epsilon_0A}=\frac{V}{d}$ q에 대해 정리하면 $q=\frac{\kappa\epsilon_0A}{d}V$ q=CV이므로, 전기용량은 $C=\frac{\kappa\epsilon_0A}{d}$ $\kappa$ : [[유전상수,dielectric_constant]] ---- from 二友출판사 기초물리학: 평행판 축전기의 전기용량 유도 면적 A인 두 도체판이 d만큼 떨어져 있고 각각 +Q, -Q로 대전되어 전하밀도 $\sigma=Q/A$ 이고 가장자리 효과를 무시하면 도체판 사이 전기장은 $E=\frac{\sigma}{\epsilon_0}=\frac{Q}{\epsilon_0A}$ 전위차는 $V=Ed=\frac{Qd}{\epsilon_0A}$ 따라서 전기용량은 $C=\frac{Q}{V}=\frac{Q\epsilon_0A}{Qd}=\epsilon_0\frac{A}{d}$ [[유전체,dielectric]]를 삽입한 후의 전기용량은 $C=\kappa\epsilon_0\frac{A}{d}$ = 고립된 전도체 구의 전기용량 = $C=4\pi\epsilon_0R$ from 二友출판사 기초물리학: 반지름 R인 구의 '''전기용량''' 계산법. 구에 전하 Q가 대전되면 무한 원점에서의 전위는 0이고 구의 전위는 kQ/R이므로 전위차는 V=kQ/R 따라서 $C=\frac{Q}{V}=\frac{Q}{kQ/R}=\frac{R}{k}=4\pi\epsilon_0R$ ---- Twin: [[WpKo:전기용량]]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4576&id=1354 정전용량 Up: [[전자기학,electromagnet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