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명제,proposition가 참임을 명백하고 모호하지 않게(unequivocally) 입증하는(demonstrate) 엄밀한 수학적 주장(argument). 증명된 수학적 진술(statement)은 정리,theorem라고 한다. (MW)
Proof techniques
- direct - 직접증명
- indirect - see 간접증명,indirect_proof {
수학백과: 간접증명 - easy }
- 모순,contradiction을 이용 - see 귀류법,proof_by_contradiction
- 귀납,induction(귀납법)
- 수학적귀납법,mathematical_induction 사실 귀납은 아니지 않나? 명칭만 귀납? 귀납 유사? 아님 귀납 맞음?....
- 강한귀납? strong_induction
strong.induction
strong.induction
- 구조귀납? structural_induction
structural.induction
structural.induction {
Structural_induction }
- 수학적귀납법,mathematical_induction 사실 귀납은 아니지 않나? 명칭만 귀납? 귀납 유사? 아님 귀납 맞음?....
- 반례,counterexample를 하나 이상 들기?
- 모든 경우,case를 따지기? exhaustive case analysis
- 대우에 의한 증명 contrapositive method of proof - 대우,contraposition
...(이목록에있는것들은 not mutually exclusive. 예를 들어 귀류법은 간접증명과 rel. QQQ 증명방법을 체계적으로 categorize하여 정리한 목록같은거 ??)
TBW:
문제,problem를 푸는(solve) 것(해,solution를 구하는 것)과
명제,proposition를 증명하는(prove) 것 (증명,proof을 작성하는 것)의 차이를 비교서술...
문제,problem를 푸는(solve) 것(해,solution를 구하는 것)과
명제,proposition를 증명하는(prove) 것 (증명,proof을 작성하는 것)의 차이를 비교서술...
chk 맞는지
{
명제,proposition가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 알 수 없을 때 증명을 해서 알아낸다.
하지만 진리임에도(참이면서도) 증명되지 않는 수학적 명제가 존재한다.[1]
}
{
명제,proposition가 참,true인지 거짓,false인지 알 수 없을 때 증명을 해서 알아낸다.
하지만 진리임에도(참이면서도) 증명되지 않는 수학적 명제가 존재한다.[1]
}
증명의 다른 표현: demonstration
ALSOIN 정리,theorem
정리 증명 (Theorem Proving) (from 인공지능 원론, 유석인, 1988)
http://www.aistudy.co.kr/heuristic/theorem_yoo.htm
ALSOIN 정리,theorem
정리 증명 (Theorem Proving) (from 인공지능 원론, 유석인, 1988)
http://www.aistudy.co.kr/heuristic/theorem_yoo.htm
증명나무 ¶
// tmp, cleanup; from SNU이광근 컴여세 p177 and wpen
'논리적인 징검다리' (널리 쓰이는 용어는 아님)
분수,fraction 표기를 사용하며

분수,fraction 표기를 사용하며
분자: 알려진 사실
분모: 유도한 새로운 사실
ex. "A가 사실이고 B가 사실이면 (A 그리고 B)도 사실이다"는 이렇게 나타냄. 분모: 유도한 새로운 사실
몇가지 징검다리들은 다음과 같다.
A and B가 사실이면 A도 사실이고 B도 사실이다. 
'A이면 B'가 사실이고 A가 사실이면, B가 사실이다. 
A가 사실이면, 임의의 B에 대해서 'A 또는 B'도 사실이고 'B 또는 A'도 사실이다. 
이것은 새로운 사실을 증명,proof하는 과정.
(중략)
이런 증명과정은 프로그래밍언어,programming_language 에서 제공하는 것(statement?)들과 일대일 대응. 프로그램 한 줄 ↔ 증명의 한 줄. 이것을 커리-하워드_동치 Curry-Howard_isomorphism {
커리-하워드_대응 { tmp quote: "정확히 말하면 커리-하워드 대응은 논리의 증명 연산(proof_calculus)과 컴퓨터의 형 체계(type_system)가 대응된다는 진술이다. 예를 들어 힐베르트 체계(Hilbert_system)와 콤비네이터 논리(combinatory_logic)가, 자연 연역(자연연역,natural_deduction - curr at 연역,deduction - 작성중)과 람다 계산(람다대수,lambda_calculus)이 대응된다." }
Curry–Howard_correspondence rel. 동형사상,isomorphism } 라고 한다.


(후략)
standard_form:
또한 Hilbert_systems for two 명제논리,propositional_logics 문단을 보면, 시퀀트,sequent notation - 시퀀트 표기법 sequent_notation - 은 다음 기호
{
Turnstile_(symbol)
TeX: \vdash
⊢ U+22A2 right tack
⊦ U+22A6 assertion sign
}
를 써서
전건긍정,modus_ponens
전제1
전제2
…
전제n
결론
ex.전제2
…
전제n
결론
또한 Hilbert_systems for two 명제논리,propositional_logics 문단을 보면, 시퀀트,sequent notation - 시퀀트 표기법 sequent_notation - 은 다음 기호
{

TeX: \vdash
⊢ U+22A2 right tack
⊦ U+22A6 assertion sign
}
를 써서
(전제1), (전제2) ⊦ (결론)
ex. modus ponens는 // 
(MP) A, A → B ⊢ B
이렇게 쓴다.tmp search links:
증명나무
proof.tree
proof.tree latex
frac, array 로 그리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운데 적당한 방법 찾을 것. 근데 mimetex에서 맘껏 쓸 수 없어서 문제다. 방법??



frac, array 로 그리는 것이 상당히 까다로운데 적당한 방법 찾을 것. 근데 mimetex에서 맘껏 쓸 수 없어서 문제다.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