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집합 $x_1, x_2, \cdots, x_n$ 의 [[표본평균,sample_mean]]과 [[표본표준편차,sample_standard_deviation]]를 $\bar{x}, s$ 라고 하자 ( $s>0$ ). $S_k$ 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S_k=\left{i,1\le i\le n:\; |x_i-\bar{x}| 1-\frac1{k^2}$ (mimeTeX에서 분모 n이 너무 작게 표시되어서 다시) https://latex.codecogs.com/gif.latex?%5Cfrac%7BN(S_k)%7D%7Bn%7D%5Cge%201-%5Cfrac%7Bn-1%7D%7Bnk%5E2%7D%20%3E%201-%5Cfrac1%7Bk%5E2%7D?.gif N(): 집합 원소의 개수 (Ross p.29) ---- ''tmp from http://blog.naver.com/mykepzzang/220838855204 중간'' 확률변수 X가 평균 $(\mu)$ 으로부터 표준편차 $(\sigma)$ 의 c배 범위 내의 값을 취할 확률은 적어도 $1-\frac1{c^2}$ 이다. 즉, ${\rm P}(\mu-c\sigma < X < \mu+c\sigma) \ge 1-\frac{1}{c^2}$ 이다. ---- ''tmp from [[https://namu.wiki/w/%EC%B2%B4%EB%B9%84%EC%87%BC%ED%94%84%20%EB%B6%80%EB%93%B1%EC%8B%9D namuwiki]]'' [[확률분포,probability_distribution]]를 정확히 모를 때 해당 확률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의 값만으로 특정한 확률의 최솟값만큼은 알아낼 수 있는 부등식. ex. 확률변수 X가 (~ 범위) 내에 있을 확률은 __확률분포에 관계없이__ 적어도 (~) 이상 [[마르코프_부등식,Markov_inequality]]은 이것을 증명하는 데 도움을 줌 ---- tmp 참고 bookmarks ko https://m.blog.naver.com/hafs_snu/220831180799 [[https://bluehorn07.github.io/mathematics/2021/03/17/chebyshev%27s-inequality.html]] [[Namu:체비쇼프%20부등식]] en https://www.probabilitycourse.com/chapter6/6_2_2_markov_chebyshev_inequalities.php ---- '''Chebyshev’s inequality''' AKA '''체비쇼프 부등식''' [[WpEn:Chebyshev's_inequality]] [[WpKo:체비쇼프_부등식]] https://everything2.com/title/Chebyshev%2527s+Inequality Up: [[부등식,ine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