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표기: 복소수 $z$ 의 '''켤레복소수'''는 $\bar{z}$ (주로 수학에서 쓰임) $z^{\ast}$ (주로 물리와 공학에서 쓰임) 복소수 $z=a+bi$ 의 '''켤레복소수'''는 $\bar{z}=a-bi$ 즉 허수부의 [[부호,sign]]를 바꾼 것. '''켤레복소수'''는 원래 복소수를 [[복소평면,complex_plane]]의 실수축에 대칭한 곳의 복소수. = 성질 = $\bar{\bar{z}}=z$ $|z|^2=z\cdot\bar{z}$ $(a+bi)(a-bi)=a^2+b^2$ $\bar{z_1+z_2}=\bar{z_1}+\bar{z_2}$ $\bar{z_1-z_2}=\bar{z_1}-\bar{z_2}$ $\bar{z_1z_2}=\bar{z_1}\bar{z_2}$ $\bar{\left(\frac{z_1}{z_2}\right)}=\frac{\bar{z_1}}{\bar{z_2}}$ ---- 복소수 $z=a+bi$ 일 때, $\bar{z}=\bar{(a+bi)}=z^*=(a+bi)^*=a-bi$ $\Re(z)=\operatorname{Re}(z)=a=\frac{z+\bar{z}}2$ (실수부 real part) $\Im(z)=\operatorname{Im}(z)=b=\frac{z-\bar{z}}{2i}$ (허수부 imaginary part) $|z|=\sqrt{a^2+b^2}=\sqrt{z\bar{z}}$ $=\sqrt{z\cdot z^*}$ ---- 실계수 다항식 $f(x)$ 에서 $a+bi$ 가 $f(x)=0$ 의 해이면 켤레 $a-bi$ 도 해가 됨 ---- from [[Namu:초월함수]] 켤레복소수 함수, CHK $\bar{z}=z^*=\begin{cases}\frac{|z|^2}{z}\text{ if }z\ne 0\\0\text{ if }z=0\end{cases}$ ---- TBW: conjugate_matrix ---- Twins: WpKo:켤레_복소수 https://mathworld.wolfram.com/ComplexConjugate.html Up: [[켤레,conjugate]] [[복소수,complex_number]] AKA '''conjugate complex number, 공액복소수, 복소켤레, 복소공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