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형상수,equilibrium_constant

기호: $K$

평형상태를 예측하게 해 줌.
해당 온도에서 반응이 어느 정도까지 생성물로 진행될지에 대한 척도.



1. 크기에 따라,

작은 K값: 아주 소량의 생성물만 생김
큰 K값: 반응물이 거의 남아있지 않음

2. 평형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온도만이 K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열을 반응물이나 생성물 중 하나로 생각해 보자.
발열반응에서 열은 생성물이다.
흡열반응에서 열은 반응물이다.

양의 ΔHr°을 가지는 계(흡열반응)에서 온도의 상승은 K를 증가시킨다.
음의 ΔHr°을 가지는 계(발열반응)에서 온도의 상승은 K를 감소시킨다.
(엔탈피,enthalpy#s-6 표준반응엔탈피)


3. 평형페이지에서 가져옴. TOMERGE

{

예. 25 °C 에서 가역반응 N2O4(g) ⇄ 2NO2(g)에서 [NO₂]2 / [N₂O₄] 값은 4.63×10-3으로 거의 일정. 평형상수
$K=\frac{[\textrm{NO_2}]^2}{\textrm{[N_2O_4]}}=4.63\times 10^{-3}$

좀더 일반적으로, 반응
$a{\rm A}+b{\rm B}\rightleftharpoons c{\rm C}+d{\rm D}$
에서 평형상수는
$K=\frac{[{\rm C}]^c [{\rm D}]^d}{[{\rm A}]^a [{\rm B}]^b}$
}

4. tmp to mv.... 평형상수 K, 반응지수 Q 비교

이하 고딩 화II

평형상수 K
$a{\rm A}+b{\rm B}\rightleftharpoons c{\rm C}+d{\rm D}$ (a~d: 반응계수)
에서 평형상수 K는
$K=\frac{[{\rm C}]^c [{\rm D}]^d}{[{\rm A}]^a [{\rm B}]^b}$
([A], [B], [C], [D]는 각각 A, B, C, D의 평형 농도(M))
// mv up

반응지수 Q
평형상수식에 반응물과 생성물의 현재농도(M)을 대입하여 구한 값
$a{\rm A}+b{\rm B}\rightleftharpoons c{\rm C}+d{\rm D}$ (a~d: 반응계수)
에서 반응지수 Q는
$Q=\frac{[{\rm C}]^c [{\rm D}]^d}{[{\rm A}]^a [{\rm B}]^b}$
([A], [B], [C], [D]는 각각 A, B, C, D의 현재 농도(M))
// fork to 반응지수,reaction_quotient

K, Q를 비교해 반응의 진행방향 예측
Q<K 정반응 우세
Q=K 평형
Q>K 역반응 우세

반응의 방향과 Q와 K의 상대적 크기
Q<K 정반응 우세, 오른쪽으로 진행
Q>K 역반응 우세, 왼쪽으로 진행
Q=K 평형

k : 속도상수,rate_constant
K : 평형상수,equilibrium_constant
Q : 반응지수,reaction_quotient

5. Kc

농도평형상수?
일반적으로 K가 이거 맞는지 CHK

6. 압력평형상수 Kp

모든 성분이 평형상태의 분압으로 구해진 평형상수

기체의 몰수가 변하지 않는 반응: Kc=Kp

Kp=Kc(RT)Δn
Δn: 몰수의 변화

7. 물의 이온 곱 상수 Kw

H2O(ℓ) + H2O(ℓ) ⇌ H3O+(aq) + OH-(aq)
$K_c=\frac{\textrm{[H_3O^+][OH^-]}}{\textrm{[H_2O]^2}}$

물의 이온곱상수는
Kc[H2O]2 = Kw = [H3O+][OH-] = 1.0×10-14 (at 25°C)

[H3O+]의 변화는 [OH-]를 반대로 변하게 한다.

산성 용액에서, [H3O+] > [OH-]
염기성 용액에서, [H3O+] < [OH-]
중성 용액에서, [H3O+] = [OH-]


ex. (54m)
물에 HCl을 녹여 [H3O+]=3.0×10-4 M이 되게 하였다. [OH-]를 계산하라. 이 용액은 산/중/염기성?

sol.
Kw=1.0×10-14=[H3O+][OH-] 이므로
[OH-]=Kw/[H3O+]=1.0×10-14/3.0×10-4=3.3×10-11 M
3.0×10-4 M > 3.3×10-11 M
[H3O+] > [OH-]
따라서 산성이다.



8. 산 해리 상수 acid dissociation constant Ka


$K_a$

$K_a=\frac{\rm [H_3O^+][A^-]}{\rm [HA]}=\frac{\rm [H^+][A^-]}{\rm[HA]}$

9. Kb

염기 해리 상수? 산해리상수에서 짝염기의 .. 이렇게 정의?

10. 용해도곱상수 Ksp

solubility product

Ca(OH)2(s) ...용해... Ca(OH)2(aq) ...해리... Ca2+(aq) + 2OH-(aq)
의 경우,
Ksp = [Ca2+][OH-]2

반응지수와 용해도곱상수의 관계
Q < Ksp unsaturated solution 불포화용액 (침전 X)
Q = Ksp saturated solution 포화용액 (침전 X)
Q > Ksp supersaturated solution 과포화용액 (침전 O)
침전 ox 뜻 확실히


11.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pH와 Ka의 관계를 설명하는 식
수소이온농도지수,pH와 산해리상수의 관계를 설명하는 식

$\textrm{pH=p}K_a+\log\frac{\rm [A^-]}{\rm[HA]}$
or
$\textrm{pH=p}K_a-\log\frac{\rm[HA]}{\rm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