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 [[이토_확산,Ito_diffusion]] diffusion-limited_aggregation DLA { '''diffusion-limited aggregation (DLA)''' 유한 확산 집합체 via https://horizon.kias.re.kr/19540/ 퍼짐 제한 뭉침, 확산 제한 응집 via KpsE:diffusion-limited Sub: stationary_diffusion-limited_aggregation stationary diffusion-limited aggregation cur. see https://horizon.kias.re.kr/19540/ 에서의 번역참조 + 다루는 개념들 random_walk : 무작위 행보 [[정수격자,integer_lattice]] [[프랙털차원,fractal_dimension]] 조화측도 harmonic_measure Ggl:"harmonic measure" Up: [[조화,harmony]] [[측도,measure]] Hastings-Levitov Ggl:"Hastings-Levitov" "척도구성극한scaling_limit Ggl:"scaling limit" 이 원판이고, 작은 입자 극한small_particle_limit Ggl:"small particle limit" 은 브라운 그물Brownian_web Ggl:"Brownian web"입니다" "정상 유한 확산 집합체Stationary Diffusion-Limited Aggregation" WpEn:Diffusion-limited_aggregation WpJa:拡散律速凝集 (확산 율속([[Naver:律速]]) 응집([[Naver:凝集]])) - rel? [[응집,coagulation]] } // .... Ggl:"Diffusion-Limited Aggregation" MKL random_walk ---- <> = 확산전류 = [[확산전류,diffusion_current]] 반도체의 개념. writing curr at [[띠,band]] 맨아래 (pn junction에서) '''확산전류''' $I_D$ 는 p에서 n으로 확산되는 정공과 n에서 p로 확산되는 전자에 의하여 운반된다. $I_D$ 는 p에서 n으로 흐르며 이는 접합의 순방향이다. (Sedra 8e ko) 반도체 한쪽에 carrier가 injection될때, 농도가 일정하지 않으므로(nonuniform concentration 상황이 생기므로) // [[캐리어,carrier]] [[농도,concentration]] [[확산전류,diffusion_current]]가 생긴다. $I\propto \frac{dn}{dx}$ $I\propto Aq\frac{dn}{dx}$ $I=AqD_n\frac{dn}{dx}$ 그래서 확산전류의 [[전류밀도,current_density]]는 $J_n = q D_n \frac{dn}{dx}$ (여기서 $D_n$ 은 [[확산계수,diffusion_coefficient]], 실리콘에서 전자의 경우 34 cm^^2^^/s) 그리고 $n$ 말고 $p$ 인 경우도 더하면 $J_{\rm tot} = q \left( D_n \frac{dn}{dx} - D_p \frac{dp}{dx} \right)$ chk (Kung slide 2 p19) https://imgur.com/zyfT3PI See also: [[확산계수,diffusion_coefficient]] Up: [[확산,diffusion]] [[전류,electric_current#s-11]] [[반도체,semiconductor]] = 확산계수 = [[확산계수,diffusion_coefficient]] 반도체의 개념. 비례상수. 실리콘에서 전자의 경우 34 cm^^2^^/s Razavi에 따르면 표기 $D$ $D_n$ (전자) $D_p$ (양공) 단위 cm^^2^^/s [[고유반도체,intrinsic_semiconductor]]에서는 ''D'',,n,, = 34 cm^^2^^/s (전자) ''D'',,p,, = 12 cm^^2^^/s (양공) (Razavi 2e ko p25) ---- (확산을 정성적으로 연구한 결과) 농도의 불균일성이 커질수록 전류도 커진다. 식으로 표현하면 $I\propto \frac{dn}{dx}$ 여기서 $n$ 은 x축의 주어진 점에서 [[캐리어농도,carrier_concentration]]이다. $dn/dx$ 는 전류가 x축으로만 흐를 때, x축에 대한 농도의 '기울기'([[기울기,slope]] [[기울기,gradient]])이다. 각 캐리어의 전하가 q이고, 반도체의 단면적이 A일 때, 위 식은 $I\propto Aq\frac{dn}{dx}$ 이 되고 따라서 $I=AqD_n \frac{dn}{dx}$ 이다. 여기서 $D_n$ 은 [[확산계수,diffusion_coefficient]]라 불리는 비례 상수로 cm^^2^^/s로 표현된다. [[유동전류,drift_current]]에 사용된 개념과 같이 [[확산전류,diffusion_current]]를 교차 면적으로 나누어 [[전류밀도,current_density]]라 정의하면 $J_n=q D_n \frac{dn}{dx}$ 이고 마찬가지로 정공 농도의 변화는 $J_p = -q D_p \frac{dp}{dx}$ 이다. 전자와 정공 농도에 의한 전체 [[전류밀도,current_density]]는 다음과 같다. $J_{\rm tot}=q\left( D_n \frac{dn}{dx} - D_p \frac{dp}{dx} \right)$ (Razavi 2e ko p25) See also: [[확산전류,diffusion_current]] [[아인슈타인_관계,Einstein_relation]] = tmp: moved from 화학, 고딩 화2 내용 = ex. 물에 잉크 한 방울을 떨어뜨리면... 그레이엄의 법칙(Graham's law) 확산 속도는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한다. 기체 A, B의 분출 속도를 v,,A,,, v,,B,,라 하고 분자량을 M,,A,,, M,,B,,라 하면 $\frac{v_A}{v_B}=\sqrt{\frac{M_B}{M_A}}$ 기체의 [[분출,effusion]]: 작은 구멍을 통해 빠져 나가는 것 확산 속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크다. ---- 전제: 같은 온도와 압력 두 기체의 확산속도는 분자량의 제곱근에 반비례 기체 A의 확산속도 $v_A,$ 밀도 $d_A,$ 분자량 $M_A$ 기체 B의 확산속도 $v_B,$ 밀도 $d_B,$ 분자량 $M_B$ 이면 다음 관계가 성립: $\frac{v_A}{v_B}=\sqrt{\frac{M_B}{M_A}}=\frac{d_B}{d_A}$ chk Up: [[화학,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