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A '''LR 회로''' R([[저항기,resistor]]), L([[유도기,inductor]])로 이루어짐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299691 hjs]] 인덕턴스(1) 17m { $E-IR-L\frac{dI}{dt}=0$ $\frac{E}{R}-I-\frac{L}{R}\frac{dI}{dt}=0$ $x=\frac{E}{R}-I \longrightarrow dx=-dI$ $x+\frac{L}{R}\frac{dx}{dt}=0$ 변수분리하면 $\frac{dx}{x}=-\frac{R}{L}dt$ 적분하면 $\int_{x_0}^x \frac{dx}{x} = -\frac{R}{L}\int_0^t dt$ $\ln\frac{x}{x_0}=-\frac{R}{L}t$ $x=x_0e^{-\frac{R}{L}t$ $\frac{E}{R}-I=\frac{E}{R}e^{-\frac{R}{L}t}$ $I=\frac{E}{R}(1-e^{-\frac{R}{L}t})$ ---- 그리고 R/L은 1/s, L/R은 시간 단위(sec)를 가짐 I-t 그래프는 처음에 급격하게 증가하며 차차 완만하게 점근선 I=E/R까지 접근하는 모습. 시간이 L/R이 되면 (t=L/R) I는 0.632(E/R)에 도달함. 관련: [[시간상수,time_constant]] ---- 스위치를 바꾸어 회로에 전원이(E가) 빠지고 R, L만 남게 되면 자기장이 energy source역할을 하게 되고, 자기장이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없어지는 것에 저항하는) 유도전류가 생김. 해당 식은, 위의 식에 E=0을 적용하면 $IR+L\frac{dI}{dt}=0$ $\int\frac{dI}{I}=-\frac{R}{L}\int dt$ $\ln\frac{I}{I_0}=-L\frac{R}{L}t$ $I=I_0 e^{-\frac{R}{L}t}$ $I=\frac{E}{R}e^{-\frac{R}{L}t}$ I-t 그래프는 exponentially decrease? 처음 E/R에서부터 처음에는 급격히 나중에는 완만히 떨어져서 I=0으로 접근하는 그래프. t=L/R일 때, e^^-1^^=0.367, I=0.367(E/R) 만큼으로 떨어짐 } 송종현 CHK { 고리법칙으로 정량적으로 분석: 저항기는 $-iR$ 인덕터는 $-L\frac{di}{dt}$ 전지는 $\mathcal{E}$ $-iR-L\frac{di}{dt}+\mathcal{E}=0$ 이 미방을 풀면(???) 회로를 닫을 때 $i=\frac{\mathcal{E}}{R}(1-e^{-\frac{R}{L}t})$ $i=\frac{\mathcal{E}}{R}(1-e^{-t/\tau_L})$ where $\tau_L=\frac{L}{R}$ ([[시간상수,time_constant]]) 이 결과에 의해 $V_R=iR=\mathcal{E}(1-e^{-t/\tau_L})$ $V_L=L\frac{di}{dt}=\mathcal{E}e^{-t/\tau_L}$ 회로를 열 때 $0=iR+L\frac{di}{dt},\;t=0,i=i_0=\mathcal{E}/R$ $i=\frac{\mathcal{E}}{R}e^{-t/\tau_L}=i_0 e^{-t/\tau_L}$ } ---- [[유도리액턴스,inductive_reactance]] X,,L,,은 $X_L=2\pi f L$ where f = [[진동수,frequency]] L = 유도 [[인덕턴스,inductance]] LR회로에 대한 [[시간상수,time_constant]] (유도 시간상수) $\tau=\frac{L}{R}$ $\mathcal{E}-IR-L\frac{dI}{dt}=0$ i.e. 고리규칙에 의해 $L\frac{di}{dt}+Ri=\mathcal{E}$ $i=\frac{\mathcal{E}}{R}(1-e^{-Rt/L})$ $\tau_L=\frac{L}{R}$ 수업에서.{ 자체 [[유도기전력,induced_emf]] $N\Phi_{\small B}=Li$ $\mathcal{E}_{\small L}=-\frac{d(N\Phi_{\small B})}{dt}$ $\mathcal{E}_{\small L}=-L\frac{di}{dt}$ } Halliday에서 { = 전류의 감소 = 전지를 제거하면 저항에 흐르는 전류도 줄어드는데, 전류는 즉시 0이 되지 않는다. 이때의 미방은 $L\frac{di}{dt}+Ri=\mathcal{E}$ 에 ℰ=0을 대입한 다음 식과 같다. $L\frac{di}{dt}+iR=0$ 시간이 흐름에 따라 ... 전류는 $I(t)=I_0e^{-t/\tau}$ 와 같이 감쇠한다. from Richardson 711; tocleanup } = HRW p. 322 (30-6) = 저항 R, 유도용량 L, 단일고리 회로에 기전력 E가 걸리면, 전류는 $i=\frac{\mathcal{E}}{R}\left(1-e^{-t/\tau_L}\right)$ (전류 증가) 로 증가하며 τ,,L,,은 회로의 유도시간상수 일정한 기전력을 없애면, $i=i_0e^{-t/\tau_L}$ (전류 감소) = Zbar p. 403 = 직렬 RL회로의 [[임피던스,impedance]]는 다음과 같다. $Z=\sqrt{R^2+X_L^2}$ R이 일정하다면 X,,L,,에 따라 임피던스가 변화한다. [[유도성리액턴스,inductive_reactance]]는, $X_L=2\pi fL$ 이므로 주파수가 일정하면 L의 변화에 따라 X,,L,,이 변하며 L이 일정하면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X,,L,,이 변한다. = Links ko = https://suhak.tistory.com/831 ---- [[WpEn:RL_circuit]] Up: [[아날로그회로,analog_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