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열,sequence]]을 [[덧셈,addition]]한(sum) 것? - Yes [[수열,sequence]]의 [[합,sum]]. (수백) Ggl:"sum of series" ? 수열 - 급수 들로 만든 수열 - (..) - (..) - ... 이렇게 한없이 확장/누적/...될 수 있는건지? 그렇다면 저것의 이름은? QQQ 수열과 '''급수'''에 대한 관심사 (강우석) 1. 수렴하는가, 발산하는가? 1. 수렴한다면 값은 얼마인가? 1. 값을 정확하게 정하지 못한다면, 얼마나 빨리 수렴하는가? - 몇 항 까지 구하면 [[오차,error]]가 얼마 이상으로 작아지는지 등등 - rel. [[수치해석,numerical_analysis]] Terms 항 term 부분합 partial sum ... [[부분합,partial_sum]] ''[[무한급수,infinite_series]]를 나타낼 때는 보통 '''부분합'''을 식으로 나타낸 다음 그것에서 마지막 항 index가 무한으로 가는 [[극한,limit]]을 생각하는 ..? chk ... QQQ 항상 이런 패턴 같은데 이 이외의 다른 방법은?'' 암튼 정의상, 무한급수의 부분합의 극한이 실수로 존재하면 the series is convergent하고 그게 무한급수의 [[합,sum]]이며 존재하지 않으면 the series is divergent하다. ex. $\sum_{n=1}^{\infty}a_n = \lim_{k\to\infty}\sum_{n=1}^k a_n$ 기호는 보통 $S_k,S_n$ 등 유한급수(finite series), 무한급수(infinite series) $\sum_{i=1}^{n}a_i$ : [[유한급수,finite_series]] $\sum_{i=1}^{\infty}a_i$ : [[무한급수,infinite_series]] 무한개 덧셈하면 [[무한급수,infinite_series]]? 무한급수를 줄여 '''급수'''로 부르기도 함. 무한급수의 경우 (?) 수렴/발산 여부를 알아내는 [[수렴판정법,convergence_test]]이 있음 무한급수에는 수렴급수와 발산급수가 있음. 수렴 converge, convergent, convergence 발산 diverge, divergent, divergence ([[발산,divergence]]과 관계가?) 절대수렴/조건수렴 급수전개 [[급수전개,series_expansion]] 멱급수전개 - curr goto [[멱급수,power_series#s-3]]; later [[멱급수전개,power_series_expansion]] 테일러급수전개 - curr goto [[테일러_급수,Taylor_series]]; later [[테일러_전개,Taylor_expansion]] 매클로린급수전개 - see [[매클로린_급수,Maclaurin_series]] https://mathworld.wolfram.com/SeriesExpansion.html [[급수해,series_solution]] - see [[해,solution]] // 무한급수는, 수렴/발산 여부에 따라 (아래) 수렴급수/발산급수 로 나뉜다 (wpko) 수렴급수 절대수렴급수 조건수렴급수 발산급수 수렴판정법/발산판정법 [[수렴판정법,convergence_test]] [[적분판정법,integral_test]] [[등차수열의_합]] [[등비수열의_합]] - 등비급수 = 기하급수. 유한등비급수 무한등비급수 [[망원급수,telescoping_series]] { https://artofproblemsolving.com/wiki/index.php/Telescoping_series ... Google:망원급수 Google:telescoping.series } Sub: [[무한급수,infinite_series]] [[수렴판정법,convergence_test]] [[조화급수,harmonic_series]] [[기하급수,geometric_series]] [[멱급수,power_series]] [[테일러_급수,Taylor_series]] [[p급수,p-series]] [[푸리에_급수,Fourier_series]] [[교대급수,alternating_series]] [[디리클레_급수,Dirichlet_series]] [[로랑_급수,Laurent_series]] - writing [[초기하급수,hypergeometric_series]] - writing [[이중급수,double_series]] - writing [[발산급수,divergent_series]] - writing [[convergent_series]] { https://mathworld.wolfram.com/ConvergentSeries.html [[수렴,convergence]] } [[Gregory_series]] and [[Leibniz_series]] - writing [[원주율,pi]]관련. MW:GregorySeries WpEn:Arctangent_series ... Ggl:"gregory series" ---- [[TableOfContents]] = 양항급수 series of positive terms = 양항수열: 모든 항이 0 이상인 수열 양항급수: 양항수열의 무한급수 $\forall n\in\mathbb{N},\,a_n\ge0$ 일 때 무한급수 $\sum_{n=1}^{\infty}a_n$ 을 양항급수라 한다. ## from 이춘호 공업수학 p91 양항급수의 비교 {a,,n,,}, {b,,n,,}이 양항수열일 때 다음이 성립. * $\forall n\in\mathbb{N},$ $a_n\le b_n$ 이고 $\textstyle\sum_{n=1}^{\infty}b_n$ 이 수렴하면 $\textstyle\sum_{n=1}^{\infty}a_n$ 도 수렴. * $\left{\frac{a_n}{b_n}\right}$ 이 수렴하고 $\textstyle\sum_{n=1}^{\infty}b_n$ 이 수렴하면 $\textstyle\sum_{n=1}^{\infty}a_n$ 도 수렴. TBW ## from 고등학교고급미적분학 p2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05212&ref=y&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양항급수]] = 이항급수,binomial_series = k가 양의 정수일 때, $(a+b)^k=\sum_{n=0}^k\binom{k}{n}a^{k-n}b^n$ Pages: [[이항계수,binomial_coefficient]] [[이항정리,binomial_theorem]] = 삼각급수 trigonometric series = [[삼각급수,trigonometric_series]] // ency. of math ${\frac{a_{0}}{2}}+\sum_{k=1}^\infty(a_{k}\cos kx + b_{k} \sin kx)$ complex form으로는 $\sum_{k=-\infty}^\infty c_{k} e^{ikx}$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Trigonometric_series Up: [[급수,series]]는 확실, [[삼각법,trigonometry]] or [[삼각함수,trigonometric_function]]? = easy; TOMERGE = 급수가 유한한 값으로 수렴하면 수렴(convergent), 그렇지 않으면 발산(divergent). 더할 때는 순서가 중요. 앞에서 하나씩 더해준 것이 부분합. 정의: 수열 {a,,n,,}에 대하여 $S_n=\sum_{i=1}^{n}a_i$ 이라 하고(부분합), 수열 {S,,n,,}이 S로 수렴하면 “급수 $\sum_{n=1}^{\infty}a_n$ 이 수렴한다” 고 하고, $a_1+a_2+\cdots+a_n+\cdots=S$ 또는 $\sum_{n=1}^{\infty}a_n=S$ 로 나타내고, S를 급수 $\sum_{n=1}^{\infty}a_n$ 의 합이라 한다. ---- 대충 '''급수'''/수열/수렴vs발산/극한의 관계? 급수가 수렴하면 [[수열,sequence]]의 [[극한,limit]]은 0이다. (그 [[대우,contraposition]]:) 수열의 극한이 0이 아니면 급수는 발산한다. $\sum_{n=1}^{\infty}a_n$ : 수렴 $\to\; \lim_{n\to\infty}a_n=0$ $\lim_{n\to\infty}a_n\ne 0 \;\to\; \sum_{n=1}^{\infty}a_n$ : 발산 ... Thm. $\sum_{n=1}^{\infty}a_n$ is convergent $\Rightarrow \lim_{n\to\infty}a_n=0$ Pf. $a_n=S_n-S_{n-1}\Rightarrow \lim_{n\to\infty}a_n=S-S=0$ The test for divergence $\lim_{n\to\infty}a_n\ne0 \Rightarrow \sum_{n=1}^{\infty}a_n$ is divergent. = 옛날 사람들의 생각 = $1-1+1-1+\cdots$ 의 값에 대한 논란이 있었음. 그랜디는 $(1-1)+(1-1)+\cdots=0$ 라고 생각했으며, 라이프니츠는 짝수항까지의 부분합 $1-1+\cdots=0$ 홀수항까지의 부분합 $1-1+1-\cdots=1$ 이므로 두 값의 평균 ½이 답이라고 생각. 현대에는 그냥 발산으로 분류?? ---- 1703년 Grandi는 급수 $\frac{1}{1+x}=1-x+x^2-x^3+\cdots$ 에 x=1을 대입하여 $\frac{1}{2}=1-1+1-1+\cdots$ $\frac{1}{2}=(1-1)+(1-1)+\cdots=0+0+\cdots$ 이므로 세계는 무에서 형성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Leibniz는 짝수항까지의 합과 홀수항까지의 합의 평균 1/2이 결과라고 주장했다. ---- 임의의 x에 대해 급수 $\sum_{n=0}^{\infty}x^n=1+x+x^2+x^3+\cdots$ 의 값을 구하는 과정(?): $S=1+x+x^2+x^3+\cdots$ $xS=x+x^2+x^3+x^4+\cdots$ $S-xS=1$ 이므로 $x\not=1$ 이면 $S=\frac1{1-x}$ $x=2$ 를 대입하면 $-1=1+2+2^2+2^3+\cdots$ $x=-1$ 을 대입하면 $\frac12=1-1+1-1+\cdots$ , (그런데 우변을 묶는 법에 따라 다음 두 식도 가능) $0=(1-1)+(1-1)+\cdots$ , $1=1+(-1+1)+(-1+1)+\cdots$ 같은 역설이 나온다. 무한합에서는 유한개의 합을 구할 때 적용되는 [[결합법칙,associativity]]이 성립하지 않기 때문. (관련: 그란디 급수, 리만 재배열 정리) ---- See also: https://parisinus04.tistory.com/10 (책 '틀리지 않는 법' 발췌) ---- Misc bmks: https://everything2.com/title/Guido+Ubaldus%2527+proof+of+the+existence+of+God ---- 18, 19세기 수학과 물리학의 빠른 발전은 모호한 개념이나 증명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았다. 몇 가지 쉬운 예를 들면 $1+x+x^2+x^3+\ldots=\frac1{1-x}$ 라는 [[기하급수,geometric_series]]의 식이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