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산,divergence]]에 대한 정리인가? [[벡터장,vector_field]]에서? 면적적분([[면적분,surface_integral]])과 체적적분을 연결? 증명: https://freshrimpsushi.tistory.com/565 한국어 글 (2차원) https://angeloyeo.github.io/2020/08/19/divergence_theorem_2D.html 3차원 발산 정리(가우스 정리) https://angeloyeo.github.io/2020/08/23/divergence_theorem_3D.html 관련: 플럭스 (curr goto [[선속,flux]]) [[벡터장,vector_field]]의 [[발산,divergence]], [[선적분,line_integral]], [[면적분,surface_integral]] 등 [[중적분,multiple_integral]], 즉 [[벡터미적분,vector_calculus]] [[그린_정리,Green_theorem]] [[스토크스_정리,Stokes_theorem]]에 발산정리와의 비교 있음 = Sadiku 3.6 p79 = AKA '''Gauss-Ostrogradsky 정리''' '''발산정리'''는 폐곡면 S를 통해 나가는 벡터장 $\vec{A}$ 의 총 선속은 $\vec{A}$ 의 발산을 체적적분한 것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oint_S\vec{A}\cdot d\vec{S}=\int_v\nabla\cdot\vec{A}dv$ 이하생략 = 정길수 = 포장지로 포장했을 때 포장지를 통해 표면으로 나오는 양은 $\iint\vec{A}ds$ 즉 면적분은 곡면에서 유출되는 양. 단위 입체에서 순 유출되는 양은 $\operatorname{div}\vec{A}$ 이므로 전체에서 유출되는 양은 $\iiint\operatorname{div}\vec{A}dv$ 가우스의 발산정리는 $\iiint\operatorname{div}\vec{A}dv=\iint\vec{A}ds$ = ghebook = [[발산,divergence]] 연산자를 [[체적적분,volume_integral]]에 적용하면 [[발산정리,divergence_theorem]] 혹은 [[가우스_정리,Gauss_s_theorem]]를 얻을 수 있다. $\int_v\bar{\nabla}\cdot\bar{A}dv=\oint_s\bar{A}\cdot d\bar{a}$ 여기서 $dv(=dxdydz)$ : 체적미분소 from https://ghebook.blogspot.com/2010/07/divergence.html = Thomas = 벡터장 $\vec{F}$ 의 성분함수가 연속인 1계 편도함수를 갖고, $S$ 가 방향을 갖는 구분적으로 매끄러운 닫힌 곡면이라고 하자. 이 곡면의 외향 법선 벡터장 $\vec{n}$ 의 방향으로 곡면 $S$ 를 통과하는 벡터장 $\vec{F}$ 의 유출은 이 곡면이 둘러싸는 영역 $D$ 위에서 $\nabla\cdot\vec{F}$ 의 적분과 같다. $\iint_S \vec{F}\cdot\vec{n}\,d\sigma = \iiint_D \nabla\cdot\vec{F}\,dV$ (위 식은 (외향 유출) = (발산적분)) (Thomas 13e ko chap14.8 발산정리와 통합 이론 - 정리 8) = tmp = $\int_v \nabla\cdot\vec{A} dv=\oint_S \vec{A}\cdot d\vec{s}$ '''발산의 정리''': 폐곡면 S를 통해 나가는 벡터장 A의 [[선속,flux]]은 (RHS, 면적분) A의 발산을 [[체적적분,volume_integral]]한 것과 같다. (LHS, 체적적분) 즉 면적분과 체적적분을 변환할 수 있다? from https://www.youtube.com/watch?v=MJtij7mDYGc&list=PL4kNQgnipU2H6NbkZDdsM4qmmVOSILnw3&index=18 ---- //namu 어떤 [[벡터장,vector_field]] $\mathbf{F}(x_1,\,x_2,\,\cdots,\,x_n)=(f_1,\,f_2,\,\cdots,\,f_n)$ 의 발산은 $\displaystyle \mathrm{div} \,\mathbf{F} = \sum_{i=1}^n \dfrac{\partial f_i}{\partial x_i}$ 로 정의한다. ---- AKA [[가우스_정리,Gauss_s_theore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125295&cid=60207&categoryId=60207 수학백과: 발산정리]]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937909&cid=60217&categoryId=60217 물리학백과: 다이버전스 정리]] // 이상은 개론만 [[WpEn:Divergence_theorem]] [[WpKo:발산_정리]] [[Namu:발산%20정리]] ([[Date(2022-01-25T15:35:59)]]현재 간결) https://ncatlab.org/nlab/show/divergence+theorem (Second [[미적분학의기본정리,FTC]]의 일반화이며, [[스토크스_정리,Stokes_theorem]]의 특수한 경우이다.) Up: [[벡터미적분,vector_calcul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