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정식,equation

See 공식,formula
see also 해석기하_공식
TODO 아래 분류가 제대로 안 되어있고 나열만 되어있는데, (ex. 미방인지 아닌지, 미방이라면 어떤 미방인지 etc.) 분류. - 가능할지? or 가치가 있을지? ex. 연립은 연립 밑에 모두 모을 가치가 있나?
어느 정도는 할 가치가 있을 듯
다만 트리형식으로 완벽 분류는 불가능, 여러 분류에 동시에 속하는 것이 많으므로



1. 대수방정식 algebraic equation


1.1.1. 일차방정식(=선형방정식)


선형대수에서는 상수항이 없는, 원점을 지나지 않는 경우를 매우 중시하는 듯..
이하 선형대수 관련.
{

형태는
$a_1x_1+a_2x_2+\cdots+a_nx_n=b$
여기서
$x_i$ : 미지수.
$a_i$ : 계수. 모두 0이 되면 안된다.
특히 $b=0$ 인 경우를 특별히 homogeneous(동차, 제차) 선형방정식으로 부름.

다시 말해
일차방정식(linear equation):
$a_1x_1+a_2x_2+\cdots+a_nx_n=b$ (계수 모두 0인 경우 제외)
동차일차방정식(homogeneous linear equation):
$a_1x_1+a_2x_2+\cdots+a_nx_n=0$ (계수 모두 0인 경우 제외)

ex.
2차원 직선,line
$ax+by=c\;\;(a,b\ne0)$
3차원 평면,plane
$ax+by+cz=d\;\;(a,b,c\ne0)$


여러 개가 모여서(?) 연립방정식을 이루면, 선형방정식계(연립일차방정식,system_of_linear_equations).
Up:
}

미분방정식,differential_equation에서 선형방정식이란
{
선형미분방정식.

1계 선형미분방정식 first-order linear DE:
$a_1(x)\frac{dy}{dx}+a_0(x)y=g(x)$
여기서
$g(x)=0$ : homogeneous 제차
otherwise : nonhomogeneous 비제차

그리고 이것의 standard form은,
$\frac{dy}{dx}+P(x)y=f(x)$
이것의 해,solution는 두 해의 합이라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y=y_c+y_p$
여기서 $y_c$ 는 다음 제차방정식의 해이다.
$\frac{dy}{dx}+P(x)y=0$

Homogeneous DE의 경우.
위 방정식은 분리가능하다. $y$ 로 나누고 $dx$ 를 곱하면
$\frac{dy}{y}+P(x)dx=0$
풀면
$y_c=ce^{\textstyle-\int P(x)dx}$
잠시 편의를 위해
$y_c=cy_1(x)$
$y_1=e^{\textstyle-\int P(x)dx}$
로 놓는다. 그리하여
$\frac{dy_1}{dx}+P(x)y_1=0$
이다. 이것을 사용하여 $y_p$ 를 찾을 것이다.

Nonhomogeneous DE
variation_of_parameters { kms: 매개변수의 변분 / see https://www.kms.or.kr/mathdict/list.html?key=ename&keyword=variation of / https://mathworld.wolfram.com/VariationofParameters.html } 방법을 써서 위의 standard form 방정식을 풀 것이다. 아이디어는 방정식의 해가 되는 즉 다음과 같은 함수 $u$ 를 찾는 것이다.
$y_p=u(x)y_1(x)=u(x)e^{\textstyle-\int P(x)dx}$

원래 방정식
$\frac{dy}{dx}+P(x)y=f(x)$$y_p=uy_1$ 대입
$\frac{d(uy_1)}{dx}+P(x)uy_1=f(x)$ ← 곱의 미분법칙 적용
$u\frac{dy_1}{dx}+y_1\frac{du}{dx}+P(x)uy_1=f(x)$$u$ 로 묶는다
$u\left[ \frac{dy_1}{dx}+P(x)y_1 \right]+y_1\frac{du}{dx}=f(x)$ ← 여기서 $[]$ 안이 0
$y_1\frac{du}{dx}=f(x)$
변수분리하고 적분하면
$du=\frac{f(x)}{y_1(x)}dx$
$u=\int\frac{f(x)}{y_1(x)}dx$

$y_1(x)$ 의 정의에서부터, $1/y_1(x)=e^{\textstyle\int P(x)dx}$ 이므로,
$y_p=uy_1=\left(\int\frac{f(x)}{y_1(x)}dx\right)e^{\textstyle-\int P(x)dx}=e^{\textstyle-\int P(x)dx}\int e^{\textstyle\int P(x)dx} f(x)dx$
$y=y_c+y_p=ce^{\textstyle-\int P(x)dx}+e^{\textstyle-\int P(x)dx}\int e^{\textstyle\int P(x)dx} f(x)dx$
이것을 암기하려 하면 안된다. 식에 $e^{\textstyle\int P(x)dx}$ 를 곱하면
$e^{\textstyle\int P(x)dx}y=c+\int e^{\textstyle\int P(x)dx} f(x)dx$
미분하면
$\frac{d}{dx}\left[e^{\textstyle\int P(x)dx}y\right]=e^{\textstyle\int P(x)dx}f(x)$
$e^{\textstyle\int P(x)dx}\frac{dy}{dx}+P(x)e^{\textstyle\int P(x)dx}y=e^{\textstyle\int P(x)dx}f(x)$
이것을 $e^{\textstyle\int P(x)dx}$ 로 나누면 원래 방정식이 된다.

풀이는 위의 반대 방향이다. 원래 방정식
$\frac{dy}{dx}+P(x)y=f(x)$
적분인자,integrating_factor $e^{\textstyle\int P(x)dx}$ 를 곱하면
$e^{\textstyle\int P(x)dx}\frac{dy}{dx}+P(x)e^{\textstyle\int P(x)dx}y=e^{\textstyle\int P(x)dx}f(x)$
이다. 좌변이 곱의 미분 꼴이므로
$\frac{d}{dx}\left[e^{\textstyle\int P(x)dx}y\right]=e^{\textstyle\int P(x)dx}f(x)$
양변을 적분하면
$e^{\textstyle\int P(x)dx}y=c+\int e^{\textstyle\int P(x)dx} f(x)dx$

(Zill 2.3)

선형성,linearity페이지에도 언급.
}

1.1.2. 이차방정식 quadratic equation

1.1.3. 삼차방정식 cubic equation


TBW:
삼차방정식 근과 계수와의 관계

특히 1의 세제곱근(일의거듭제곱근,unity_root에서 $n=3$ 인 경우)이 자주 나오며
$x^3=1$
의 근을 $1,\omega,\omega^2$ 이렇게 자주 표기하는데...

판별식,discriminant은 이차방정식에 비해 지나치게 복잡하여 굳이 알아야 할지 의문.
See https://m.blog.naver.com/birth1104/222385891858

인수분해가 되지 않는 경우의 풀이법도 매우 복잡.
See https://suhak.tistory.com/301 - Cardano의 풀이법 + 근의 공식



1.1.4. 사차방정식 quartic equation

quartic_equation


1.1.5. 오차방정식 quintic equation

quintic_equation
오차,error 방정식이 아닌 5차방정식

4차방정식까지는 근의 공식이 있으나 5차 이상부터는 없다는 특징.

Why you can't solve quintic equations (Galois theory approach) #SoME2 - YouTube (Mathemaniac)
https://www.youtube.com/watch?v=zCU9tZ2VkWc
rel. 갈루아_이론,Galois_theory


1.1.6. n차 방정식

n차 방정식
$ax^n+bx^{n-1}+\cdots=0$
은 항상 n개의 근을 가짐
  • 모든 근의 합: $-\frac{b}{a}$
  • 모든 근의 곱:
    • n이 짝수일 때 (상수항)/a
    • n이 홀수일 때 -(상수항)/a

이유 TBW

1.2. radical equation

3. 극방정식 polar equation


$f(r,\theta)=0$ 또는 $r=f(\theta)$

$r=f(\theta)$ 의 그래프를 $\alpha$ 만큼 회전시킨 그래프는 $r=f(\theta-\alpha)$ 가 된다.
관련: 극좌표,polar_coordinate

Google:Hesse 표준형 Naver:hesse 표준형으로 극방정식 ↔ xy방정식 변환을 쉽게 할 수 있다고.
영어로는? 이거?
Hesse/Hessian normal form
WpEn:Hesse_normal_form
https://mathworld.wolfram.com/HessianNormalForm.html
Up: 기하학,geometry > 해석기하,analytic_geometry

10. 부정방정식,indeterminate_equation

해가 너무 많아서 정할 수 없는 방정식

미지수의 개수 > 식의 개수

디오판토스_방정식,Diophantine_equation - writing
디오판토스 방정식, Diophantine equation, 정수조건 부정방정식
미지수를 정수에 한정하여 생각하는 부정방정식

Sub:
펠_방정식,Pell_equation - writing

2022-03-01
(주의) Namu:부정방정식을 보면 이 단어는 정의가 제대로 확립되지 않은, ie 명확하지 않은 단어이다.

그리고 이하 links도 참고하여 제대로 page mk



2022-03-05
Libre:부정방정식

11. Poisson and Laplace equation


이 둘이 밀접하여 같이 다루는 곳이 많아서 아직 분리 안함....

푸아송_방정식,Poisson_equation 2계편미방(wpko에는 2차편미방으로 되어 있는데 second order라는 것을 확인하고 수정. 역시 wpko는 믿을것이 못됨), elliptic pde; electrostatics 등에서 쓰임
Poisson's equation
https://mathworld.wolfram.com/PoissonsEquation.html
$\nabla^2\psi=-4\pi\rho$
$\rho=0$ 이면 reduces to 라플라스방정식.
Up: 편미분방정식,partial_differential_equation,PDE



tmp chk from https://m.blog.naver.com/seolgoons/221591886546 (가우스법칙, Poisson, Laplace)
{
가우스 법칙
$\nabla\cdot\vec{E}=\frac{\rho}{\epsilon_0}$
에,
$\vec{E}=-\nabla V$
를 적용하면
$\nabla\cdot(-\nabla V)=\frac{\rho}{\epsilon_0}$
$\nabla^2 V=-\frac{\rho}{\epsilon_0}$
이렇게 Poisson eq가 나온다고.


가우스 법칙 $\nabla\cdot\vec{E}=\frac{\rho}{\epsilon_0}$
푸아송 방정식 $\nabla^2V=-\frac{\rho}{\epsilon_0}$
Laplace eq $\nabla^2 V = 0$

라플라시안,Laplacian



Poisson’s equation WpKo:푸아송_방정식
라플라스 일반화라는 말의 뜻? 라플라스보다 더 일반적인 방정식??

Poisson eq.는 [https]여기(박석재)서 몇번 언급됨 (역학/중력 쪽 얘기. 물질분포와 가우스정리에서부터 처음 언급.)
[https]그 바로 다음 파트에서는 전자기와 관련 언급됨.

라플라스 방정식의 해는 조화함수,harmonic_function.


tmp links ko
{
전자기학 10) 전위,electric_potential라플라스_방정식
[https]https://m.blog.naver.com/cindyvelyn/222044671663
1, 2, 3차원 라플라스 방정식 모양은 각각:
$\nabla^2V=\frac{\partial^2V}{\partial x^2}=0\;\;\;(=\frac{d^2V}{dx^2})$ (변수가 하나이므로 ∂=d)
$\nabla^2V=\frac{\partial^2V}{\partial x^2}+\frac{\partial^2V}{\partial y^2}=0$
$\nabla^2V=\frac{\partial^2V}{\partial x^2}+\frac{\partial^2V}{\partial y^2}+\frac{\partial^2V}{\partial z^2}=0$

전자기학 11) 전자기학의 유일성 정리 [https]https://m.blog.naver.com/cindyvelyn/222051213345
유일성정리(uniqueness_theorem)란, 라플라스_방정식에 적절한 경계조건(boundary_condition)이 주어지면 퍼텐셜,potential을 하나의 값으로 완전히 정할 수 있다는 내용.
제 1 유일성 정리
제 2 유일성 정리 이렇게 있다는데 생략.
}

이 방정식들은 (내 관점에서 현재는) 주로 전위,electric_potential#s-21.1 설명에 사용됨

13. 라플라스 방정식 Laplace equation

15. 삼각방정식 trigonometric equation

16. 적분방정식 integral equation

19. (이상 방정식들)


20. 방정식의 근과 계수의 관계

방정식의 근root과
방정식의 계수,coefficient의 관계


21. Misc

chemical equation은 화학 반응식

22. Sites

EqWorld: The World of Mathematical Equations
http://eqworld.ipmnet.r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