벡터공간,vector_space

AKA 선형공간, linear space
따라서 '선형 벡터 공간' linear vector space 도 동의어? CHK

벡터공간에는 벡터,vector만 있다. 다른 것은 없다. (참고로 스칼라,scalar는 (스칼라 공간이 아니라?) 스칼라체 scalar_field에 있다. - curr 체,field
2023-09-13... WtEn:scalar_field이건 영어로 스칼라장,scalar_field과 구분이 안 되나? / + 다른 표현은 없는지?
Ans:
한국어: Ndict:스칼라체를 거쳐 [https]수학백과 벡터공간 페이지에서 스칼라체 검색하면 상수체 라고도 한다고. Ggl:스칼라체 Bing:스칼라체 Ggl:상수체 Bing:상수체
영어: WtEn:field_of_scalars임. WpEn:field_of_scalars은 redirected. 스칼라장을 설명하는 WpEn:Scalar_field은 맨 위에 disambiguation으로 처리. )

F가 체,field일 때, Fn의 부분집합 V가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V를 F위의 벡터공간이라 함.
임의의 스칼라,scalar a, b
V의 원소 u, v에 대해
항상 au + bvF

성질
<- 아래 section으로
  • 수학에서 보통 써오던 집합,set은 대부분 벡터공간이라고 하네. (ex. $\mathbb{R}, \mathbb{C},$ 연속함수의 집합, 미분가능한 함수들의 집합 등)
  • n차원 좌표공간 Fn
    • 3
      $\begin{bmatrix}x\\y\\z\end{bmatrix}$ : column vector with 3 components
  • 평면,plane
  • $\mathbb{R}^n=\left\lbrace (x_1,\cdots,x_n)\middle| x_i\in\mathbb{R}\right\rbrace$
  • $P$ = set of all polynomials
  • $P_n$ = set of all polynomials of degree $\le n$
  • $M_{m,n}$ = set of all m×n matrices
  • $C(-\infty,\infty)$ = set of all continuous functions on $\mathbb{R}$
  • $C[a,b]$ = set of all continuous functions on $[a,b]$



1. 공리 10가지 정리 필요

2. 분류 필요

2.1. 차원에 따른 벡터공간의 분류 필요

(벡터공간의 차원은 아래 section 있음)
ex
유한차원벡터공간
무한차원벡터공간

3. tmp 영공간과 열공간

Ax=0의 해들이 이루는 벡터공간은 영공간,null_space
Ax=b의 해들이 이루는 벡터공간은 열공간,column_space
이 둘은 homogeneous/inhomogeneous와 관련되었다고.

Thm. 해,solution가 존재하는 연립일차방정식,system_of_linear_equations Ax=b의 해집합,solution_set을 S,
대응되는 연립일차방정식 Ax=0의 해집합을 SH라 표기. (H는 homogeneous인듯)
Ax=b의 임의의 해를 s라 하면 다음 식이 성립.
S=s+SH={s+h|h∈SH}
// 즉 s∈S
// s+SH 는 {s}∪SH를 뜻하나???

뜻: 우변이 0이 아닌 inhomogeneous방정식의 일반해는, 한 해만 선택한 다음 우변이 0인 homogeneous방정식의 해집합에 더하기만 하면 만들 수 있다.

pf. 연립방정식 Ax=b의 임의의 해를 s라 하자.
그 외의 또 다른 어떤 해를 t라 하면, t∈S이고
Ax=b
At=b
A(t-s)=b-b=0
이므로 t-s∈SH이다. 여기서 t-s=h라 하면, h는 연립방정식 Ax=0의 해이므로 h∈SH이다.
그러면 t=s+h∈{s}+SH라 할 수 있고, t∈S이므로
S⊆{s}+SH ......(1)
가 성립.
역으로, t∈{s}+SH라 가정한다. 그러면 어떤 h∈SH에 대해 t=s+h라 할 수 있다. 이 때
At=A(s+h)=As+Ah=b+0=b
이므로 t는 연립방정식 Ax=b의 해가 되어 t∈S이고 S는 가정 상 {s}+SH보다 큰 집합이므로
{s}+SH⊆S ......(2)
이다. 따라서 (1), (2)에 대해 S={s}+SH가 성립한다.




4. TMP 벡터공간임을 인정받으려면 반드시 따라야 할 규칙 CHK

(벡터공간 내 임의의 벡터 v,w를 가정. 임의의 상수 c,d를 가정.)
1. 더한 결과 v+w는 같은 벡터 공간에 존재.
2. 상수곱의 결과 cv는 같은 벡터 공간에 존재.
3. 모든 경우의 cv+dw 조합(선형결합,linear_combination) 결과가 같은 벡터 공간에 존재.


5. from Young Gil Kim, Friedberg 4판 교재

5.1. 정의


체 F도 집합이고, 벡터공간 V도 집합,set이다.

Def. Vector space $V$ over $F$
= a set of vectors with two operations (+,·)
여기서
+는 벡터들 간의 덧셈이고,
·는 벡터에 스칼라를 곱하는 것(이 곱하기는 이항연산,binary_operation이라고 하지 않는다).

아무튼 V는 벡터들의 집합, F는 스칼라들의 집합.

그래서 다음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 닫힘 closed
  • x+y=y+x
  • (x+y)+z=x+(y+z)
  • ∃0∈V such that x+0=x .... 0∈V .... 수 영,zero 아니고 벡터인 영벡터,zero_vector
  • ∀x∈V such that 1·x=x .... 1∈F .... 수 하나,one 맞음 (스칼라)
  • (a·b)·x = a·(b·x) .... 여기서 첫번째 ·는 scalar와 scalar의 곱셈이고, 두번째 ·는 scalar와 vector의 곱셈. (QQQ scalar_multiple ?)
  • a(x+y)=ax+ay
  • (a+b)x=ax+bx

5.2. 벡터공간의 예 .... 이하 CLEANUP

ex1. $F^n=\lbrace(a_1,a_2,\cdots,a_n)|a_i\in F\rbrace$
$F^n$ over $F$ is a vector space
체,field에서 n개를 뽑은 n-튜플,tuple, 이것은 벡터공간이 된다.

$u=(a_1,a_2,\cdots,a_n)\in F^n$
$v=(b_1,b_2,\cdots,b_n)\in F^n$
$u+v=(a_1+b_1,a_2+b_2,\cdots,a_n+b_n)\in F^n$
$c\cdot v=(c\cdot b_1,c\cdot b_2,\cdots,c\cdot b_n)\in F^n$

// 그래서 F를 실수로 생각하면
ex2. $\mathbb{R}^3$ over $\mathbb{R}$

// 복소수 4-tuple로 생각하면
ex3. $\mathbb{C}^4$ over $\mathbb{C}$

ex4. 행렬도 vector space가 될 수 있음. 조건만 만족하면..
m by n $(m\times n)$ 행렬
$M_{m\times n}(F)=\left\lbrace [a_{i,j}]_{m\times n} \middle| a_{i,j}\in F \right\rbrace$
$\begin{bmatrix}2&3&4\\5&6&7\end{bmatrix}\in M_{2\times 3}(F)$
Zero in $M_{2\times 3}(F)=\begin{bmatrix}0&0&0\\0&0&0\end{bmatrix}$

ex5. A set of functions from $[0,1]$ to $\mathbb{R}$
이 vector space의 zero_vector에 해당하는 것은 영함수,zero_function.
어떤 vector의(ie 함수의) additive_inverse는 x축 대칭인 함수.

ex6. 유한차수다항식들의 집합 $V=P(\mathbb{R})$ // 이건 P over R이며, P는 polynomial, R은 계수가 실수에서 왔다는 뜻
$f(x)=a_nx^n+a_{n-1}x^{n-1}+\cdots+a_0\in V$
$g(x)=b_nx^n+b_{n-1}x^{n-1}+\cdots+b_0\in V$
이건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만족하므로 vector space임.
$f(x)+g(x)\in V$
$cf(x)\in V$
Zero of V=0
Inverse of $x^2+1=-x^2-1$

ex7. (벡터공간 아님)
$S=\left\{ (a_1,a_2) \middle| a_1,a_2\in\mathbb{R} \right\}$ // 즉 2차원 평면 위의 한 점으로 생각
$(a_1,a_2)+(b_1,b_2)=(a_1+b_1,a_2-b_2)$
$c(a_1,a_2)=(ca_1,ca_2)$
이렇게 정의한 $S$ 는 벡터공간인가?
commutative, associative 조건 때문에 아니다
일단 연산에 뺄셈이 있어서 vector addition에 대한 교환법칙이 성립 X

ex8. (벡터공간 아님) // 이것도 2차원 평면
$S=\left\lbrace (a_1,a_2)\middle| a_1,a_2\in\mathbb{R}\right\rbrace$
$(a_1,a_2)+(b_1,b_2)=(a_1+b_1,0)$
$c(a_1,a_2)=(ca_1,0)$
이렇게 정의한 $S$ 는 벡터공간인가?
Sol.
$\forall x\in V$ s.t. 1·x=x 이어야 하는데, 즉 1을 곱하면 자기자신이어야 하는데, 자기자신이 될 수가 없다.
예를 들어 1·(3,5)=(3,0) 이 되는데 이게 (3,5)가 아니다.
$\exists 0\in V$ s.t. x+0=x 이어야 하는데, 즉 0을 더하면 자기자신이어야 하는데, 더하기만 하면 항상 뒤를 0으로 만들어 버린다.

5.3. 벡터공간의 정리

5.3.1. Thm 1.1 cancellation_law

∀x,y,z∈V,
x+z=y+z ⇒ x=z // 즉 cancellation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리. easy.

Pf.
공리에 따라 덧셈의 역원이 존재하므로 ∃(-z). 양변에 더하면
(x+z)+(-z)=(y+z)+(-z)
덧셈 결합법칙
x+(z+(-z))=y+(z+(-z))
덧셈의 역원을 더하면 영벡터가 되므로
x+0=y+0
x=y

결론: vector space에선 덧셈,addition에 대해서 cancellation을 할 수 있다.

5.3.1.1. Cor 1 identity 0 is unique - 덧셈 항등원 0의 유일성

uniqueness 증명은 방법이 하나밖에 없다 - 두 개 있다고 가정하고, 그 둘이 같을 수 밖에 없음을 증명하는 것
pf. zero vector가 0과 0' 두개라고 가정한다. Suppose we have two zeroes 0 and 0'
x+0=x=x+0'
x+0=x+0'
By cancellation,
0=0'

결론: 영벡터,zero_vector유일성,uniqueness: 영벡터는 벡터공간 안에 여러 개 있을 수가 없고 하나만 존재한다.

5.3.1.2. Cor 2 inverse is unique - 덧셈의 역원의 유일성

Pf. x의 덧셈에 대한 역원이 하나가 아니고 두 개 a, b가 있다고 가정. Suppose we have two inverses of x which are a and b.
x+a=0
x+b=0
위 Cor 1에서 0은 유일하다고 했으므로
x+a=x+b
By cancellation,
a=b

5.3.2. Thm 1.2

벡터에 스칼라 0을 곱하면 영벡터가 된다.
$\forall x\in V,\;0\cdot x=0$ (주의: 앞의 0은 scalar zero, 뒤의 0은 zero vector... 이하 0과 \vec{0} 을 일부러 구분 표기하지 않았음 - 내가 틀릴수 있으므로)
pf.
$0\cdot x$ // 0=0+0이라는 일종의 technique?? 을 쓴다...
$=(0+0)\cdot x$ // 여기 분배법칙 쓰면
$=0 \cdot x + 0 \cdot x$
By cancellation,
$0\cdot x=0$

영벡터에 어떤 스칼라를 곱해도 영벡터이다.
$\forall a\in F,\; a\cdot 0=0$
pf.
$a\cdot 0$
$=a\cdot(0+0)$
$=a\cdot 0 + a \cdot 0$
By cancellation,
$a\cdot 0=0$

∀x∈V, ∀a∈F // x는 벡터고 a는 스칼라이다.
(−a)·x = −(a·x) = a·(−x)
pf. 앞쪽등호
a·x+(−a)·x
= (a+(−a))·x
= 0·x
= 0
∴ (−a)·x is the inverse of a·x
뒷쪽등호
a·x + a·(−x)
= a·(x+(−x))
= a·0
= 0
∴ a·(−x) is the inverse of a·x

// 이 다음 1.3 Subspace는 RR:OnlineLectures#s-4으로

6. 정의; tmp CHK

{
일단 잘 안 쓰이는 용어 잠시 찾아보니 '가법'은 다음을 얘기하는 듯. 단순 덧셈,addition 말고도. CHK. from [http]선형대수 George Nakos 벡터공간 소개부분 요약
{
  • 모든 $ u, v \in V $ 에 대하여 $ u + v \in V $ 이다.
  • 모든 $ u, v \in V $ 에 대하여 $ u + v = v + u $ 이다.
  • 모든 $ u, v, w \in V $ 에 대하여 $ (u + v) + w = u + (v + w) $ 이다.
  • V의 영이라고 부르는 일의적인 원소 $ 0 \in V $ 가 존재하여, 모든 $ u \in V $ 에 대하여 $ u + 0 = 0 + u = u $ 를 만족한다.
  • $ u \in V $ 에 대하여 u의 음 또는 u의 반대라고 하는 일의적인 원소 $ -u \in V $ 가 존재하여 $ u + (-u) = (-u) + u = 0 $ 을 만족한다.
요약하자면 각각
  • 덧셈에 닫혀있음
  • 덧셈 교환법칙 성립
  • 덧셈 결합법칙 성립
  • 덧셈의 항등원 0 존재
  • 덧셈의 역원 존재
이라는 군을 접해봤다면 매우 친숙할 덧셈의 성질이다. 이것들이 가법? 이것들이 성립하면 가법이 성립? 이것들이 가법의 조건??? 아무튼. 정식 용어 아님. 이 단어는 (현재는) 찾아봤자다. addition밖에 안나옴.
찾다 보니 가법성(additivity)이란 게 있는데 $f(a+b)=f(a)+f(b)$ 라는 뜻이라고. [https]src

2021-05-21 additivity에 대한 설명
도형 D가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서 D = D1 ∪ D2라고 쓸 수 있고 이 두 부분은 교차하는 부분이 없어서 D1 ∩ D2 = ∅일 때, 넓이 A는 다음 성질을 만족시킨다:
$A(D)=A(D_1)+A(D_2)$
이것을 넓이 함수의 additivity라고 한다.
from AnamLectureNotesVol1_20200210.pdf
}

어떤 집합 V에 대해,
이 정의 되어 있으면 닫혀 있다.

벡터공간은 아래 세 성질을 만족하는 공간.
즉, 어떤 집합 V에 대해, 가법과 스칼라곱이 정의되어 있고, 닫혀있으면서, 위 성질들을 만족하면, 그 집합은 벡터 공간을 이룬다고 함. (sglee)

(참고) 가법에 대한 가환군,commutative_group의 예로는 Z, Q, R, C가 있다 (자연수는 0과 음수가 없어서, 가법에 대해 군이 아님)

스칼라(여기서 스칼라는 체,field를 말함)에 대해 벡터공간을 분류 가능.
실수체를 쓰는 실벡터공간 real vector space real_vector_space https://mathworld.wolfram.com/RealVectorSpace.html
복소수체를 쓰는 복소벡터공간 complex vector space_complex_vector space https://mathworld.wolfram.com/ComplexVectorSpace.html

이상 참고:
https://m.blog.naver.com/sglee84/110045627887 (선형대수-2)
https://beckho.tistory.com/17 (벡터공간)
}

8. Definition from Lay 4.1

A vector space is a nonempty set $V$ of objects, called vectors, on which are defined two operations, called addition and multiplication by scalars, subject to the ten axioms listed below. The axioms must hold for all vectors $\vec{u},\vec{v},\textrm{ and }\vec{w}$ in $V$ and for all scalars $c\textrm{ and }d.$

  1. $\vec{u}+\vec{v}\in V$ (sum의 존재)
  2. $\vec{u}+\vec{v}=\vec{v}+\vec{u}$
  3. $(\vec{u}+\vec{v})+\vec{w}=\vec{u}+(\vec{v}+\vec{w})$
  4. $\exists\vec{0}\in V$ such that $\vec{u}+\vec{0}=\vec{u}$
  5. For each $\vec{u}\in V,\;\exists-\vec{u}\in V$ such that $\vec{u}+(-\vec{u})=\vec{0}$
  6. $\exists c\vec{u}\in V$ (scalar multiple의 존재)
  7. $c(\vec{u}+\vec{v})=c\vec{u}+c\vec{v}$
  8. $(c+d)\vec{u}=c\vec{u}+d\vec{u}$
  9. $c(d\vec{u})=(cd)\vec{u}$
  10. $1\vec{u}=\vec{u}$


9. 부분공간 subspace

10. 노름공간 normed space

11. 위상벡터공간 topological vector space

12. 벡터공간의 차원

(정의)
벡터공간기저,basis에 있는 벡터의 수를 그 공간의 차원,dimension이라 한다.

벡터공간의 기저가 유한 개의 벡터를 포함하면 그 벡터공간은 유한차원(finite dimensional), 그렇지 않으면 무한차원(infinite dimensional)이라 한다. 구간 $I$ 위에서 $n$ 번 연속적으로 미분가능한 함수로 된 함수공간,function_space $C^n(I)$ 는 무한차원벡터공간의 한 예이다.

(Zill 6e ko 정의 7.6.5 p443)


tmp bmks ko
https://chocobear.tistory.com/112
-> mentions/mklink: 사슬,chain 극대원리 maximal_principle 극대선형독립부분집합 maximal_linearly_independent_subset

Google:무한차원벡터공간
}



Q: 벡터장,vector_field과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