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 정의역은 실수의 집합( $\mathbb{R}$ ), 치역은 벡터의 집합. [[실수,real_number]] → [[벡터,vector]] $\mathbb{R} \to \mathbb{R}^n$ 정의역 실수는 시간 $t$ 인 경우가 많음. 아니어도 상관없음. mklink: { [[매개변수,parameter]] [[매개변수방정식,parametric_equation]] [[매개곡선,parametric_curve]] } QQQ '''vector-valued function'''과 완전히 같은건가? 관계? <> = 설명 = 실수 $t$ 가 있고 그에 대한 함수 $f(t),\ g(t),\ h(t)$ 가 있을 때, 실수 $t$ 를 벡터 $(f(t),\ g(t),\ h(t))$ 로 연결하는 함수 $\vec{r}$ 을 '''벡터함수'''라 한다. [[2차원]]의 경우 $\vec{r}(t)=\langle f(t),\ g(t)\rangle=f(t)\vec{i}+g(t)\vec{j}$ [[3차원]]의 경우 $\vec{r}(t)=\langle f(t),\,g(t),\,h(t)\rangle = f(t)\mathbf{i}+g(t)\mathbf{j}+h(t)\mathbf{k}$ 이 때 $f,\ g,\ h$ 를 벡터함수 $\vec{r}$ 을 이루는 성분함수라고 한다. 매개변수방정식 $x=f(t),\; y=g(t),\; z=h(t)$ 로 나타낼 수도 있다. 모든 $t$ 에 대해 벡터 $(f(t),\ g(t),\ h(t))$ 의 시점을 원점으로 놓으면 종점은 $(f(t),\ g(t),\ h(t))$ 이다. 세 함수 $f(t), g(t), h(t)$ 가 연속이면 벡터 $\vec{r}(t)$ 의 종점은 위 매개방정식이 나타내는 곡선을 나타낸다. ---- [[Date(2020-09-12T13:56:21)]] 벡터함수 $\vec{F}(t)=x(t)\vec{i}+y(t)\vec{j}+z(t)\vec{k}$ 여기서 $\vec{F}(t)$ 는 3D 공간에서 curve의 [[위치벡터,position_vector]]로 볼 수 있고, 각 t에 대해 origin에서 점 $(x(t),y(t),z(t))$ 까지 그은 화살표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면 좌표함수들(coordinate functions)은 curve의 [[매개변수방정식,parametric_equation]]이다. F의 미분은 $\vec{F}'(t)=x'(t)\vec{\imath}+y'(t)\vec{\jmath}+z'(t)\vec{k}$ (생각: [[기저,basis]](i, j, k)를 상수로 생각하고 나머지 함수들은 미분한 그런 모양새....) 곡선의 길이는([[호길이,arclength]]) $x=x(t),y=y(t),z=z(t),a\le t\le b$ 일 때 $\int_a^b\sqrt{(x'(t))^2+(y'(t))^2+(z'(t))^2}dt=\int_a^b \left\|\vec{F}{}'(t)\right\|dt$ (O'Neil AEM Ch11 맨 앞) = Example 1 = $\vec{r}(t)=(a\cos(-t),\;y=b\sin(-t))$ 이것은 타원 $\left(\frac{x}{a}\right)^2+\left(\frac{y}{b}\right)^2=1$ 을 나타낸다. = 벡터함수의 극한 = $\vec{r}(t)=\langle f(t),g(t),h(t) \rangle$ 일 때 각 성분의 극한이 존재하면 $\lim_{t\to a}\vec{r}(t)$ $=\lim_{t\to a}\langle f(t),g(t),h(t)\rangle$ $=\left\langle \lim_{t\to a}f(t), \lim_{t\to a}g(t), \lim_{t\to a}h(t) \right\rangle$ tmp CHK ---- $\vec{r}(t)=\left\langle f(t),g(t),h(t) \right\rangle$ 일 때, $\lim_{t\to a}\vec{r}(t)=\left\langle \lim_{t\to a}f(t),\lim_{t\to a}g(t),\lim_{t\to a}h(t) \right\rangle$ 로 정의한다. ## 김도형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141060 6. 1:16m = 벡터함수의 연속 및 미적분 = 벡터함수 r이 $\lim_{t\to a}\vec{r}(t)=\vec{r}(a)$ 를 만족하면 a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 벡터함수 $\vec{r}$ 이 $\lim_{t\to a}\vec{r}(t)=\vec{r}(a)$ 일 때 $\vec{r}$ 은 $a$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김도형) ## 김도형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141060 6. 1:16m ---- 벡터함수를 [[미적분,calculus]]할 수도 있음 - See [[벡터미적분,vector_calculus]] = 2017-12-25, 최성우, kocw = // from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732551 벡터함수의 미분과 적분]] $\mathbb{R}\rightarrow\mathbb{R}^2$ 이렇게 실수가 평면곡선에 대응하거나, $\mathbb{R}\rightarrow\mathbb{R}^3$ 이렇게 실수가 공간곡선으로 대응할 수 있음 $\vec{r}:\,\mathbb{R}\rightarrow\mathbb{R}^3$ 또는 $\vec{r}(t)=(r_1(t),r_2(t),r_3(t))$ $=r_1(t)\vec{i}+r_2(t)\vec{j}+r_3(t)\vec{k}$ 벡터함수의 극한: 각 성분의 극한 $\lim_{t\to a}\vec{r}(t):=\left( \lim_{t\to a}r_1(t),\; \lim_{t\to a}r_2(t),\; \lim_{t\to a}r_3(t) \right)$ 벡터함수의 연속 $\lim_{t\to a}\vec{r}(t)=\vec{r}(a)$ 일 때, $\vec{r}$ 은 $a$ 에서 연속 예: $\vec{r}(t)=(\cos t,\; \sin t,\; t)=\cos(t)\hat{\rm i}+\sin(t)\hat{\rm j}+t\hat{\rm k}$ 는 나선(helix, spiral)가 됨 이것을 xy평면에 비춘 모양은 $x^2+y^2=\cos^2t+\sin^2t=1$ 이므로 원이 됨 벡터미분의 정의 $\vec{r}{}'(t)=\frac{d}{dt}\vec{r}=\frac{d\vec{r}}{dt}:=\lim_{h\to 0}\frac{\vec{r}(t+h)-\vec{r}(t)}{h}$ 벡터함수에서도 [[미적분학의기본정리,FTC]]가 성립 = Thomas Ch11 벡터함수 = 공간에서 입자 [[좌표,coordinate]]가 $I$ 에서 정의된 다음 함수로 나타날 때, $x=f(t),\,y=g(t),\,z=h(t),\;\;t\in I$ 점들 $(x,y,z)=(f(t),g(t),h(t))$ 는 그 입자의 [[경로,path]]라 부르는 [[곡선,curve]]을 구성한다. [[원점,origin]]에서부터, 시간 $t$ 일 때 입자의 [[위치,position]] $P(f(t),g(t),h(t))$ 까지로 정의된 [[벡터,vector]] $\vec{r}(t)=\overrightarrow{OP}=f(t)\hat{i}+g(t)\hat{j}+h(t)\hat{k}$ 는 입자의 [[위치벡터,position_vector]]이다. [[함수,function]] $f,g,h$ 는 위치벡터의 성분 또는 성분함수(component function)이다. 정의역 $D$ 위에서의 '''벡터함수(vector function)''' 또는 '''벡터값함수(vector-valued function)'''란, $D$ 의 각 원소를 [[공간,space]]의 한 벡터로 대응시키는 규칙이다. $D$ 는 [[실수,real_number]]일수도, [[평면,plane]]일수도, 공간일수도 있다. 평면이나 공간에서 정의된 '''벡터함수'''는 [[벡터장,vector_field]]을 나타내게 된다. 실수값함수를 벡터함수와 구별하기 위해 스칼라함수(scalar function)라고 부른다. == 벡터값함수의 극한 == 정의역 $D$ 에서 정의된 한 '''벡터함수''' $\vec{r}(t)=f(t)\hat{i}+g(t)\hat{j}+h(t)\hat{k}$ 과 한 벡터 $\vec{L}$ 이 있다. 임의의 양수 $\epsilon$ 에 대해서, 적당한 양수 $\delta$ 가 존재하여, $0<|t-t_0|<\delta$ 인 모든 $t\in D$ 에 대해, $|\vec{r}(t)-\vec{L}|<\epsilon$ 을 만족할 때, $\vec{r}$ 은 $t$ 가 $t_0$ 로 접근할 때 '''극한''' $\vec{L}$ 을 갖는다고 하고 $\lim_{t\to t_0}\vec{r}(t)=\vec{L}$ 로 쓴다. Up: [[극한,limit]] == 벡터값함수의 연속 == 벡터함수 $\vec{r}(t)$ 가 $\lim_{t\to t_0}\vec{r}(t)=\vec{r}(t_0)$ 를 만족할 때 한 점 $t=t_0$ 에서 '''연속'''이라 한다. 정의역 구간의 모든 점에서 연속일 때 벡터함수는 연속이라 한다. Up: [[연속성,continuity]] = 공간곡선 space curve = [[공간곡선,space_curve]] 페이지가 필요? 아님 [[곡선,curve]]으로 충분? ---- $f,g,h$ 를 구간 $I$ 에서 연속인 실숫값 함수라 하고 $t$ 가 구간 $I$ 전체에서 변할 때 다음 식을 만족하는 [[공간,space]]의 모든 [[점,point]] $(x,y,z)$ 의 [[집합,set]] $\mathcal{C}$ 를 '''공간곡선'''(space curve)이라 한다. $x=f(t),$ $y=g(t),$ $z=h(t)$ 이것은 $\mathcal{C}$ 의 [[매개변수방정식,parametric_equation]]이며 $t$ 는 [[매개변수,parameter]]이다. ''(rel. [[매개곡선,parametric_curve]]?)'' (Stewart) ---- // from 김도형 http://www.kocw.net/home/search/kemView.do?kemId=1141060 6 1:23m { 벡터함수 $\vec{r}:I\subset\mathbb{R}\to\mathbb{R}^3$ $t \mapsto \left\langle f(t),g(t),h(t) \right\rangle$ 를 [[매개변수방정식,parametric_equation]]으로 생각하면 $C=\left\{\left\langle f(t),g(t),h(t) \right\rangle \middle| t\in I \right\}$ 을 '''공간곡선'''으로 생각할 수 있다. 공간곡선의 미분 즉 벡터함수의 도함수 ([[벡터함수,vector_function]]의 [[미분,derivative]]) 정의) 벡터함수 $\vec{r}:I\subset\mathbb{R}\to\mathbb{R}^3$ 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 $\frac{d\vec{r}}{dt} = \vec{r}'(t) = \lim_{h\to 0}\frac{\vec{r}(t+h)-\vec{r}(t)}{h}$ $\vec{r}'(t)$ 의 기하학적 의미 → [[접벡터,tangent_vector]] } https://mathworld.wolfram.com/SpaceCurve.html ... Google:space+curve = Compare = [[스칼라함수,scalar_function]] { https://mathworld.wolfram.com/ScalarFunction.html .... [[스칼라,scalar]] [[함수,function]] } [[복소함수,complex_function]] ---- https://mathworld.wolfram.com/VectorFunction.html Up: [[벡터,vector]] [[함수,function]] [[선형대수,linear_algeb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