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index '''산술 법칙, 산술, 셈법''' ## kms arithmetic -> 산술, 셈법 [[수,number]]와 그 [[연산,operation]]/[[계산,computation]]/calculation에 대해 탐구. Sub: // 대상이 되는 [[수,number]] 종류에 따라, 혹은 [[수표현,number_representation]] 방식에 따라 [[binary_arithmetic]] WtEn:binary_arithmetic (뻔함) [[WpEn:Category:Binary_arithmetic]] '''binary arithmetic'''과 binary logic (i.e. [[불_논리,Boolean_logic]])의 차이: ex. binary arithmetic에서는 1+1=10 binary logic에서는 1+1=1 (사실 위 두 줄의 연산 +의 의미가 좀 다르다, 각각 [[덧셈,addition]](binary addition) and OR연산(근데 덧셈의 일종이나 변형으로 볼 수도 있는??)) [[integer_arithmetic]] - [[정수,integer]] / or [[natural_number_arithmetic]]? 같은 방식으로 소수점 아래까지 다루면 유리수산술로 확장할 수 있고, 루트 기호([[근호,radical_sign]])나 특수한 문자(e, π 등)을 써서 실수 산술로 쉽게 누구나 확장할 수 있으므로 자연수 산술/정수 산술 만을 특정해서 서술하는 encyclopedic entry는 없는 것 같음. [[complex_arithmetic]] - [[복소수,complex_number]] '''complex number arithmetic''' 이것도 i를 symbolic하게(i.e. '기호로') 다루면 실수 산술과 크게 다를 게 없으므로 마찬가지. // and.. [[modular_arithmetic]] (모듈러/모듈로/모듈라/나머지/합동) (산술/산수/연산) Cmp: (1) Ggl:"n-ary vs n-adic" (2) [[modulo]] vs [[법,modulus]] { Google:modulo.vs.modulus / Ggl:"modulo modulus 차이" / WtEn:modulo / WtEn:modulus } // https://mathworld.wolfram.com/Modulus.html MKL [[residue]] [[나머지,remainder]] [[나눗셈,division]] esp [[정수나눗셈,integer_division]](curr [[나눗셈,division#s-1]])의 [[나머지,remainder]] [[정수론,number_theory]] [[환,ring]] [[아이디얼,ideal]] [[합동,congruence]](다른 합동 말고 정수론의 합동) NN:진법 [[원시근,primitive_root]] ... WpSp:Primitive_root_modulo_n WpEn:Primitive_root_modulo_n 모든 $m\in\lbrace 1, 2, \cdots, n-1 \rbrace$ 이 $g^x\equiv m\pmod n$ 형식으로 표현된다면, $g$ is a primitive root modulo $n.$ (ws) [[동치관계,equivalence_relation]] ... a≡b(mod c)같은 식으로 나타내는. [[p진수,p-adic_number]] tmp bmks en: https://artofproblemsolving.com/wiki/index.php/Modular_arithmetic [[WtEn:modular_arithmetic]] Twins: https://en.citizendium.org/wiki/Modular_arithmetic - '''시계산술 패리티산술 ... 이렇게 쉬운 예부터 하나씩 TBW'' Google:clock_arithmetic Google:parity_arithmetic https://mathworld.wolfram.com/ModularArithmetic.html [[WpSp:Modular_arithmetic]] [[WpEn:Modular_arithmetic]] [[WpKo:모듈러_산술]] [[Libre:모듈러산술]] [[프레스버거_산술,Presburger_arithmetic]] 로빈슨 산술(Robinson arithmetic) [[Robinson_arithmetic]] [[WpEn:Robinson_arithmetic]] [[WpJa:ロビンソン算術]] https://googology.fandom.com/wiki/Robinson_arithmetic https://ncatlab.org/nlab/show/Robinson+arithmetic // tmp: "결정가능한 1차논리 이론의 대표적 예시로 .. 프레스버거 산술(Presburger arithmetic) 따위가 있으며, // 결정 불가능한 이론의 예시로 산술의 기초적인 명제들을 증명할 수 있는 로빈슨 산술(Robinson arithmetic)이나 .. 따위가 있다."[* WpKo:결정가능성] // Misc. (del ok) [[대수학,algebra]]에는 이름 앞부분이 조금 비슷한 Robbins_algebra 가 있다 [[페아노_산술,Peano_arithmetic]] - w MKL [[페아노_수,Peano_number]] w { https://wiki.haskell.org/Peano_numbers } [[페아노_공리,Peano_axiom]] w [[자연수,natural_number]] zeration = successor_function ... Ggl:zeration Twin https://www.pls-lab.org/en/Peano_arithmetic 참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68883&cid=60207&categoryId=60207 수학백과: 불완전성 정리]]의 '2. 페아노 산술' 참조 - [[불완전성정리,incompleteness_theorem]] 설명에 앞서 '''페아노 산술'''을 1계논리(일계논리=[[일차논리,first-order_logic]]?)로 간략히 기술한 내용. https://ncatlab.org/nlab/show/Peano+arithmetic WpEn:Peano_arithmetic redir. to Peano_axioms의 한 섹션 - [[페아노_공리,Peano_axiom]]에서 [[induction_axiom]]을 제외하면 모두 [[일차논리,first-order_logic]]의 [[statement]]s들이다. 그리고 axiom of induction(귀납공리? [[귀납,induction]])은 [[술어,predicate]]에 대한 [[quantifier]]가 있으므로 [[이차논리,second-order_logic]]의 [[statement]]이다. ...Ggl:Peano+arithmetic 헤이팅_산술,Heyting_arithmetic - w '''Heyting arithmetic''' Arend_Heyting ? [[WtEn:Heyting_arithmetic]] x 2024-04 [[WpEn:Heyting_arithmetic]] https://ncatlab.org/nlab/show/Heyting+arithmetic ...Ggl:"Heyting arithmetic" Bing:"Heyting arithmetic" Naver:"Heyting arithmetic" 스콜렘 산술 Skolem_arithmetic - w '''Skolem arithmetic''' Thoralf_Skolem ? [[WtEn:Skolem_arithmetic]] x 2024-04 [[WpEn:Skolem_arithmetic]] ... Ggl:"Skolem arithmetic" Bing:"Skolem arithmetic" Naver:"Skolem arithmetic" Nelson_arithmetic 넬슨_산술 ? '''Nelson arithmetic''' https://ncatlab.org/nlab/show/Nelson+arithmetic ...Ggl:"Nelson arithmetic" Bing:"Nelson arithmetic" 이상 중에서 몇가지는 [[integer_arithmetic]]이었고(?) ... i.e. 나중에 대상이 되는 [[수,number]]? [[대상,object]]?의 [[타입,type]]에 따른 산술의 분류도 필요, TBW [[floating-point_arithmetic]] = floating point arithmetic - curr see [[부동소수점,floating_point]] - floating-point_unit (FPU)에서 처리하는 arbitrary-precision arithmetic (bignum arithmetic) - curr see 부동소수점 맨밑 ... (나중에 체계가 잡혀지면 리스트 맨 위로 merge) [[second-order_arithmetic]] - w [[WpEn:Second-order_arithmetic]] https://ncatlab.org/nlab/show/second-order+arithmetic ... Google:Second-order.arithmetic see also https://www.pls-lab.org/en/Arithmetic Rel [[reverse_mathematics]] ... "Reverse mathematics is usually carried out using subsystems of second-order arithmetic"[* WpEn:WpEn:Reverse_mathematics] { [[WpEn:Reverse_mathematics]] } 그렇다면 first-order_arithmetic 도 존재? - yes [[first-order_arithmetic]] - w Google:first+order+arithmetic third도? Google:third+order+arithmetic Google:higher+order+arithmetic .... (이건 이것들의 해당하는 [[-order_logic]]과 MKL) ... i.e. [[영차논리,zeroth-order_logic]]~[[명제논리,propositional_logic]] / [[일차논리,first-order_logic]]~[[술어논리,predicate_logic]] / [[이차논리,second-order_logic]]~? / ... etc. [[true_arithmetic]] - w '''true arithmetic''' WtEn:true_arithmetic x 2024-04 [[WpEn:True_arithmetic]] // ... Google:true.arithmetic Bing:"true arithmetic" [[cardinal_arithmetic]] - w '''cardinal arithmetic''' WtEn:cardinal_arithmetic x 2024-04 rel. [[cardinality]] [[cardinal_number]] https://planetmath.org/cardinalarithmetic - 보면 cardinal_addition cardinal_multiplication cardinal_exponentiation 도 정의해준다 // ... Ggl:"cardinal arithmetic" Bing:"cardinal arithmetic" [[arithmetical_hierarchy]] - w rr '''arithmetical hierarchy''' [[WtEn:arithmetical_hierarchy]] [[WpKo:산술적_위계]] [[WpEn:Arithmetical_hierarchy]] Up: [[산술,arithmetic]] [[위계,hierarchy]] // ... Ggl:"arithmetical hierarchy" Bing:"arithmetical hierarchy" Naver:"arithmetical hierarchy" [[구간산술,interval_arithmetic]] - w (curr see [[구간,interval]]) [[퍼지산술,fuzzy_arithmetic]] - w - [[퍼지논리,fuzzy_logic]]관련. 거기에 작성중. [[포인터산술,pointer_arithmetic]] - w - of [[포인터,pointer]], [[프로그래밍언어,programming_language]] [[transreal_arithmetic]] - w { [[WpEn:James_A._D._W._Anderson#Transreal_arithmetic]] } transreal arithmetic // ... Ggl:"transreal arithmetic" elementary_function_arithmetic elementary function arithmetic (EFA) AKA '''elementary arithmetic, exponential function arithmetic''' (we) 즉 명칭만 보면 초등산술, [[초등함수,elementary_function]] 산술, [[지수함수,exponential_function]] 산술. 초등산술 / 초등함수산술 / 지수함수산술 https://ncatlab.org/nlab/show/elementary+function+arithmetic WpEn:Elementary_function_arithmetic WpJa:初等関数算術 // ... Ggl:"elementary function arithmetic" type_arithmetic - w rr - [[타입,type]] WtEn:type_arithmetic x 2024-04 https://wiki.haskell.org/Type_arithmetic // ... Ggl:"type arithmetic" Bing:"type arithmetic" Naver:"type arithmetic" [[포화산술,saturation_arithmetic]] - w rr 포화,saturation - 번역은 내 맘대로 한 직역임. chk ... [[포화,saturation]] curr see WpEn:Saturation_arithmetic rel [[디지털신호처리,digital_signal_processing,DSP]] [[부동소수점,floating_point]] ... 저쪽에서의 일종의 방법론 같은? 아주 대충: 모든 가능한 [[값,value]]의 [[범위,range]]를 제한하는 [[최소값,minimum_value]] [[최대값,maximum_value]]이 있으며, 연산 결과가 최대값보다 크면 정해진 최대값이 되어버리고, 연산 결과가 최소값보다 작은 경우도 마찬가지. 등등. \ (내 생각:) [[극값,extremum]]을 벗어날 때 최대한 정확하도록 exception등으로 따로 구현해 표현해주는게 가능은 하지만, 엄청난 cost가 발생하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없는 경우, 그냥 그 extreme으로 만족해버리도록 처리하는(??) <> = Complementary arithmetic = complementary arithmetic complementary_arithmetic [[보수,complement]] [[Date(2023-11-08T02:34:25)]] 글쎄, src? Ggl:"complementary arithmetic" 해보니 Ggl:"complement arithmetic" 결과가 더 많이 나옴.. complementary_arithmetic 10's complement 2's complement 1's complement = 법칙 = [[교환법칙,commutativity]] [[결합법칙,associativity]] [[분배법칙,distributivity]] 멱등, 멱등성, 멱등법칙 - idempotence 에 작성중 표: || ||n. ||adj. || ||[[교환법칙,commutativity]]||commutativity ||commutative || ||[[결합법칙,associativity]]||'''associativity''' ||associative || ||[[분배법칙,distributivity]]||distributivity ||distributive || ||멱등법칙 ||idempotence, idempotency ||idempotent || || ||[[덧셈,addition]] ||[[곱셈,multiplication]] || ||결합 법칙 ||$a+b+c=(a+b)+c=a+(b+c)$ ||$abc=(ab)c=a(bc)$ || ||교환 법칙 ||$a+b=b+a$ ||$ab=ba$ || ||분배 법칙 ||$a(b+c)=ab+ac$ || = 연산 = [[연산,operation]] 단항연산과 이항연산 [[단항연산,unary_operation]] [[부정,negation]] 부호반대? [[부호,sign]] 반대? 마이너스 minus complement - [[컴플리먼트,complement]]? 여집합, 여사건, 등등. (rel. [[보수,complement]]) [[계승,factorial]]? [[이항연산,binary_operation]]: ||0 ||WtEn:successor#Noun ? ||predecessor || ||1 ||[[덧셈,addition]], 가산 ||[[뺄셈,subtraction]], 감산 || ||2 ||[[곱셈,multiplication]] ||[[나눗셈,division]] || ||3 ||[[거듭제곱,멱,power]] ≒ [[지수,exponentiation]] ||[[거듭제곱근,nth_root]] or [[로그,log]] || ||4 ||[[테트레이션,tetration]] ||[[WpEn:Super-root]] or [[WpEn:Super-logarithm]] || ||5.. ||? ||? || 이 표에서 좌우는 서로 반대 관계. 逆. --anti. negative.-- inverse. 상하 관계는 없을까? 덧셈을 여러 번 하면 곱셈. 그걸 여러 번 하면 거듭제곱. 하지만 뺄셈을 여러 번 한다고 나눗셈이 되지는 않음. https://oeis.org/wiki/Addition 의 Hierarchical list of operations pertaining to numbers 를 볼 것. ([[Date(2021-05-17T04:54:04)]]) see also [[WpKo:하이퍼_연산]] [[WpEn:Hyperoperation]] Rel. [[arithmetical_hierarchy]] 계산 결과는 ||[[합,sum]] ||차, [[차이,difference]] || ||[[곱,product]] ||[[몫,quotient]].....[[나머지,remainder]] || ||? ||? ''(curr see [[지수,exponentiation]]) 여기서부터는 연산 이름과 그 결과의 이름을 나누지 않는 듯? chk'' || ||? ||?? || radical 근호 = radical symbol, radical sign 괄선(vinculum)이 없는 왼쪽 부분만 있는 것을 surd라고 하는건가? \surd $\surd$ {{{ \sqrt{t} }}} $\sqrt{t}$ {{{ \sqrt[x]{y} }}} $\sqrt[x]{y}$ radical sign 밑의 숫자는 radicand(해당하는 한글 단어는 없는 것 같고 "근호(根號) 속의 수"가 사전에 나온다.) curr. goto [[제곱근,square_root]] 합은 [[적분,integration]] 차는 [[미분,differentiation]]에 각각 유사성이 있었는데 뭐였더라? 사칙연산을 할 수 있는 [[집합,set]] - [[체,field]]?? = 차원과.. = [[차원,dimension]]과의 관계. 물리 방정식 계산에서, 덧셈/뺄셈은 차원이 같아야 계산 가능하다. 1kg+2mg은 되지만 1kg+2m는 안된다. 곱셈/나눗셈은 차원이 달라도 계산 가능하다. 10m÷5s=2m/s이다. = tmp; WpEn:Arithmetic 읽고. = [[식,expression]]의 [[평가,evaluation]]{AKA 값매김} infix/prefix/postfix notation - chk: 이건 [[연산자,operator]]가 [[식,expression]]에서 [[리터럴,literal]]과 어떻게 어울려지느냐에 대한 [[표기법,notation]]? [[Wiki:PolishNotation]] AKA Prefix notation [[Wiki:InfixNotation]] [[Wiki:PostfixNotation]] AKA RPN - [[포스,Forth]] precedence rule [[연산,operation]] and [[연산자,operator]] [[사칙연산]], [[이항연산,binary_operation]] [[덧셈,addition]] [[뺄셈,subtraction]] [[곱셈,multiplication]] [[나눗셈,division]] [[division_by_zero]] [[체,field]] == 산술의 기본 정리 fundamental theorem of arithmetic FTA == fundamental_theorem_of_arithmetic aka unique_factorization_theorem : 2이상의 모든 정수 has a unique [[소인수분해,prime_factorization]] $n\in\mathbb{N},\,n>1$ 이라 하면 다음 식을 만족하는 $m\in\mathbb{N}$ 과 [[소수,prime_number]] $p_1,p_2,\cdots,p_m$ 이 존재한다. $n=p_1\cdot p_2 \cdot \cdots \cdot p_m$ 특히 약수들의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이러한 표현방식은 오직 하나 뿐이다. Twins: [[WpKo:산술의_기본_정리]] [[WpEn:Fundamental_theorem_of_arithmetic]] (tmp) 주의: 대수학의기본정리 또한 FTA 이므로 주의.. 저건 fundamental_theorem_of_algebra - see [[대수학,algebra]] Up: [[정리,theorem]] = CS > PL 에서 실수 산술의 구현에 대해 - Exact real arithmetic = exact_real_arithmetic 계산불가능한 실수는 물론 컴퓨터가 못 다루지만 ('symbolic하게, 근사적으로' 이런거 말고) 계산가능수computable_number인 [[실수,real_number]]를 .... exact하게 다룰 수는 있다, 근데 복잡하다. (지금 이것은 물론 [[부동소수점,floating_point]] 얘기가 아니다.) 일단은 haskell wiki 참조 https://wiki.haskell.org/Exact_real_arithmetic https://ncatlab.org/nlab/show/exact+real+computer+arithmetic Google:Exact+real+arithmetic Bing:Exact+real+arithmetic = arithmetic logic unit (ALU) = [[프로세서,processor]] esp CPU안에 [[arithmetic_logic_unit]](ALU) { arithmetic logic unit WtEn:arithmetic_logic_unit } 에서 정수산술연산, 논리연산을 다룬다. 유사실수(? FPN, [[부동소수점수,floating-point_number]] : [[부동소수점,floating_point]] [[수,number]])의 산술연산을 다루는 FPU는 거의 항상 ALU와 분리되어 따로 있는 듯. // floating_point_unit OR floating-point_unit 이유? Boolean value에 대한 arithmetic과 integer value에 대한 arithmetic은 비슷하고(사실상 같음) floating point arithmetic은 [[타입,type]]이 달라 전혀 다른 처리를 해야 해서? 아님 역사적 이유로 unit이 갈라져 나오고 지금까지 이어진? (초기에는 FPU가 CPU에 없고 별개였던 (이른바 Ggl:coprocessor'''''') 적도 있다) rel [[컴퓨터,computer]] [[컴퓨터구조,computer_architecture]] [[계산,calculation]] = addhere = = addhere = = addhere = = addhere = = TBW = TBW: [[대수학,algebra]] vs 산술(算術) 차이점은? 각종 [[_algebra]], 각종 [[_arithmetic]] 이런것들은 왜 각각 algebra와 arithmetic 으로 이름붙었는지 등등 [[정수론,number_theory]]과의 차이점 and 유사성/겹치는것 tmp from WpKo:결정가능성 { "결정가능한 1차논리([[일차논리,first-order_logic]]) 이론의 대표적 예시로 실폐체(real_closed_field - writing, curr see WpKo:실폐체 WpEn:Real_closed_field )의 이론이나 [[프레스버거_산술,Presburger_arithmetic]] 따위가 있으며, 결정 불가능한 이론의 예시로 산술의 기초적인 명제들을 증명할 수 있는 로빈슨 산술(Robinson_arithmetic)이나 군의 이론([[군론,group_theory]]? curr [[군,group]]) 따위가 있다." } rel. [[결정가능성,decidability]]? - w ---- https://www.pls-lab.org/en/Arithmetic https://mathworld.wolfram.com/Arithmetic.html https://encyclopediaofmath.org/wiki/Arithmetic,_formal Up: [[수학,ma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