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을 일반화한 것..? 자연수 $m$ 에 대해 $E(X^m)$ 을 $X$ 의 $m$ 번째 '''적률'''( $m$ th moment ) 로 정의함. 첫번째 적률 E(X^^1^^)은 [[평균,mean,average]]. [[기대값,expected_value]]도? - [[대표값,평균값,중앙값,최빈값]]? 두번째 적률 E(X^^2^^)은 [[분산,variance]]. 세번째 적률 E(X^^3^^)은 [[왜도,skewness]]. 네번째 적률 E(X^^4^^)은 [[첨도,kurtosis]]. = tmp 0 = ''from http://networksciencebook.com/chapter/2#degree 20%쯤 Box 2.2'' Average(mean): $\langle x \rangle = \frac{x_1+x_2+\cdots+x_N}{N}=\frac1N\sum_{i=1}^N x_i$ '''The n^^th^^ moment''': $\langle x^n \rangle = \frac{x_1^n+x_2^n+\cdots+x_N^n}{N}=\frac1N\sum_{i=1}^N x_i^n$ ''QQQ langle rangle 표기는 network_theory / graph_theory에서 자주 쓰이는듯? 저기선 전체 수를 $n$ 보다는 $N$ 으로 표기하는 경향도 보이는데.'' = tmp 1 = from https://hsm-edu.tistory.com/756?category=810686 (글 3개) ; chk 물리에서 0차적률 [[질량,mass]] 1차적률 [[질량중심,mass_center]] 2차적률 [[관성모멘트,moment_of_inertia]] 통계학에서 1차적률 [[평균,mean,average]] 2차적률 [[분산,variance]] 3차적률 [[왜도,skewness]] 4차적률 [[첨도,kurtosis]] $n$ 차 적률의 정의는, (언급이 없으면 c=0으로 간주) $\mu_n=\int_{-\infty}^{\infty}(x-c)^n f(x)dx$ 보다시피, 평균 E(X)는 n=1, c=0인, 1차 적률. 분산 V(X)는 n=2, c=(평균)인, 2차 적률. ---- [[적률생성함수,moment_generating_function,MGF]] { AKA '''모멘트생성함수, moment generating function, mgf''' ---- Bmks https://bluehorn07.github.io/mathematics/2021/04/13/momemtum-generating-function.html https://freshrimpsushi.github.io/posts/moment-generating-function/ ---- tmp from http://blog.naver.com/mykepzzang/220846464280 and Namu so CHK { 특정 [[확률분포,probability_distribution]]의 적률을 생성하는 함수. [[적률,moment]]은 물리의 [[모멘트,moment]]에서 가져온 개념. 확률변수의 적률(모멘트)............. [[확률변수,random_variable]] 혹은 확률분포의 $n$ 차 적률 혹은 $n$ 차 모멘트란, 확률변수를 n번 거듭제곱한 것의 [[기대값,expected_value]]. $\mu_n=\mathbb{E}[X^n]$ '''적률생성함수'''는 이 적률을 계수로 갖는 [[급수,series]]. $M_X(t)=\mathbb{E}[e^{tX}]$ 만약 위 기대값이 $t=0$ 근방에서 수렴한다면, 다음처럼 급수전개가 가능함을 증명할 수 있다고. (다만 확률변수 $e^{tX}$ 가 $t=0$ 근방에서 적분가능해야 의미가 있음) $M_X(t) = \mathbb{E}\left[\sum_{k=0}^{\infty} \frac{(tX)^k}{k!}\right] = \sum_{k=0}^{\infty} \frac{t^k}{k!} \mathbb{E}[X^k]$ 따라서 [[테일러_정리,Taylor_theorem]]에 의해 $\mu_n = M^{(n)}(0)$ 을 얻을 수 있다 함. TBW 무게중심, 아니 [[질량중심,mass_center]]과? Compare: [[결합적률생성함수,joint_moment_generating_function,joint_MGF]]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144&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적률생성함수]] https://everything2.com/title/Moment+Generating+Function [[Namu:적률생성함수]] Up: [[적률,moment]] [[생성함수,generating_function]] } Sub: 결합적률생성함수 joint mgf [[결합적률생성함수,joint_moment_generating_function,joint_MGF]] { '''결합적률생성함수, joint moment generating function, joint mgf''' http://blog.naver.com/mykepzzang/221054595788 from Namu:적률생성함수 { [[확률변수,random_variable]] $X$ 가 다음과 같은 다변수확률변수일 경우, $X=(X_1,X_2,\cdots,X_n)$ 적률생성함수의 [[테일러_급수,Taylor_series]]는 [[결합적률,joint_moment]] $\mu_{(k_1,k_2,\cdots,k_n)}=\mathbb{E}[X_1^{k_1},X_2^{k_2},\cdots,X_n^{k_n}]$ 을 나타냄. [[연속확률분포,continuous_probability_distribution]]의 경우, '''mgf'''는 확률분포함수([[확률분포,probability_distribution]])의 [[라플라스_변환,Laplace_transform]]이라고. Cmp: [[적률생성함수,moment_generating_function,MGF]] Up: [[결합,joint]] [[적률,moment]] [[생성함수,generating_function]] } } } ---- ---- '''[[모멘트,moment]]'''와 이름이 같음. QQQ 관계? 일차모멘트=일차적률: [[질량중심,mass_center]] - curr goto [[질량,mass#s-7]] ''TODO 아래 내용 [[질량중심,mass_center]], 혹은 first_moment 혹은 moment([[모멘트,moment]] or [[적률,moment]]?) 중 적당한 곳으로 옮기거나 정리.'' { 시소(seesaw)에서, [[질량,mass]]이 각각 $m_1,m_2$ 인 물체가 시소 중심으로부터 각각 왼쪽으로 $d_1,$ 오른쪽으로 $d_2$ 인 [[거리,distance]] 인 지점에 있다면 평형을 이루기 위한 필충조건은 $m_1d_1=m_2d_2$ QQQQ증명 점질량이 $m_1,m_2$ 인 물체가 각각 위치 $x_1,x_2(x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