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속밀도'''(electric flux density) 또는 '''전기변위장'''(electric displacment field), '''변위장''', electric displacement 표기 D (displacement에서) 단위 C⋅m^^−2^^ C/m^^2^^ ('''[[전속밀도,electric_flux_density]]'''와 동일) 그냥 [[전기장,electric_field]] $(\vec{E})$ 는 진공에 대해 정의되었는데 [[유전체,dielectric]] 등의 편극성([[편극,polarization]]) 물질에서는 외부 전기장에 의해 분극이 일어나므로 .. 암튼 물질에 대한 효과까지 고려한 장이 '''전기변위장'''인가 보다. 맞다. 그리고 그 관계는 [[재료,material]]의 [[유전율,permittivity]] ε에 관련되며 $\vec{D}=\epsilon\vec{E}$ 의 관계를 가지며, 유전율 $\epsilon$ 은 $\epsilon=\epsilon_r \epsilon_0$ 이고, 여기서 $\epsilon_0=8.85\times10^{-12}$ : electrical permittivity of free space (F/m) $\epsilon_r=\epsilon/\epsilon_0$ : relative permittivity (or [[유전상수,dielectric_constant]]) of the material 이것의 자기장 버전이 [[자기장세기,magnetic_field_intensity]] $\vec{H}$ 란다. from https://namu.wiki/w/%EC%A0%84%EA%B8%B0%20%EB%B3%80%EC%9C%84%EC%9E%A5 CHK = CLEANUP = [[WpKo:변위장]] [[WpEn:Electric_displacement_field]] { 변위장 D, 전기장 E, [[편극밀도,polarization_density]] P $\vec{D}\equ\epsilon_0\vec{E}+\vec{P}$ 선형매질에서 편극밀도 P, [[감수율,susceptibility]] χ (Greek chi) $\vec{P}=\epsilon_0\chi\vec{E}$ 따라서 $\vec{D}=\epsilon_0\vec{E}+\epsilon_0\chi\vec{E}$ $\vec{D}=(1+\chi)\epsilon_0\vec{E}$ 매질의 [[유전율,permittivity]]은 $\epsilon=(1+\chi)\epsilon_0$ 종합하면 $\vec{D}=\epsilon\vec{E}$ } ---- Up: [[전기장,electric_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