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성다항식,characteristic_polynomial

정사각행렬에 대해 정의됨.

어떤 정사각행렬 A의 특성다항식은 det(λI−A)이고,
(특성다항식)=0으로 놓은 방정식은 즉 det(λI−A)=0은 A의 특성방정식,characteristic_equation이다.
det(λI−A)=0을 만족하는 값 λ는 행렬 A의 고유값,eigenvalue이다.

저기서,
A : 정사각행렬,square_matrix
I : A와 같은 크기의 항등행렬,identity_matrix

AKA 고유다항식 - chk Google:고유다항식 그럼 Google:eigenpolynomial이란 말이 혹시 있는지?


(from wpen)
정사각행렬의 특성다항식
유한차원 벡터공간,vector_space자기사상,endomorphism특성다항식은 is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of the matrix of that endomorphism over any base (that is,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does not depend on the choice of a basis). // 기저,basis를 어떻게 잡든 상관없음.

(이상 선형대수,linear_algebra에서 행렬,matrix esp. 정사각행렬,square_matrix특성다항식 언급이었고)

미분방정식의 특성다항식 및 특성방정식

상수계수 선형 미분방정식
$Ly=y^{(n)}+a_1 y^{(n-1)}+\cdots+a_{n-1}y'+a_n y = 0$
으로부터, 다음처럼 만든 $n$ 차 다항식
$p_L(t)=t^n+a_1 t^{n-1} + a_2 t^{n-2} + \cdots + a_{n-1}t + a_n$
을 저 미분방정식의 특성다항식이라 부른다.
그리고 이 다항식에 대응하는 다항방정식 $p_L(t)=0$ 을 저 미분방정식의 특성방정식,characteristic_equation이라 하고,
이 특성방정식의 복소근 complex_roots 을 저 미분방정식의 고유값,eigenvalue이라 부른다.[1]


See also 이름이 비슷한
특성함수,characteristic_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