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차방정식,quadratic_equation

Difference between r1.15 and the current

@@ -2,11 +2,13 @@

(이차 [[다항식,polynomial]]=0 또는 [[이차함수,quadratic_function]]=0)으로 놓은 형태의 [[방정식,equation]]
이차 [[다항식,polynomial]]([[이차다항식,quadratic_polynomial]])=0 또는 [[이차함수,quadratic_function]]=0)으로 놓은 형태의 [[방정식,equation]]
$ax^2+bx+c=0\;(a\neq 0)$

a,b,c는 R인지 C인지....CHK
<<tableofcontents>>

= 판별식(discriminant) =
판별식의 [[부호,sign]]를 통해 근의 존재성과 성질에 대해 알 수 있음.
판별식의 [[부호,sign]]를 통해 [[,루트,root]]의 존재성과 성질에 대해 알 수 있음.
보통 알파벳 D로 표기하며, 그 값은
$D=b^2-4ac$

@@ -19,6 +21,8 @@
=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quadratic_formula =
If $ax^2+bx+c=0,$ then
$x=\frac{-b \pm \sqrt{b^2-4ac}}{2a}$
[[WpEn:Quadratic_formula]]

= 근과 계수의 관계 =
두 근을 $\alpha, \beta$ 라고 하면
@@ -31,15 +35,20 @@
$a(x-\alpha)(x-\beta)=0$
여기서 a는 0이 아닌 실수.

거꾸로 이차방정식을 [[복소수,complex_number]]의 범위에서 [[인수분해,factoring]]해서 $a(x-\alpha)(x-\beta)=0$ 꼴로 만들 수 있다.
거꾸로 이차방정식을 [[복소수,complex_number]]의 범위에서 [[인수분해,factorization]]해서 $a(x-\alpha)(x-\beta)=0$ 꼴로 만들 수 있다.

= 관련 곡선 =
[[포물선,parabola]]
= 연립이차방정식 =
[[연립방정식,system_of_equations]] and '''이차방정식'''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4125372&cid=60207&categoryId=60207 수학백과: 연립이차방정식]]
Google:연립이차방정식

= 어원 =
2차(quadratic)라는 이름은, 한 변의 길이가 x인 정사각형의 넓이가 x^^2^^이기 때문에, 정사각형을 뜻하는 라틴어 quadratius에서 유래. (Ivan Savov p84)

----
Up: [[방정식,equation]]



2차방정식, quadratic equation

이차 다항식,polynomial(이차다항식,quadratic_polynomial)=0 또는 이차함수,quadratic_function=0)으로 놓은 형태의 방정식,equation
$ax^2+bx+c=0\;(a\neq 0)$

a,b,c는 R인지 C인지....CHK



1. 판별식(discriminant)

판별식의 부호,sign를 통해 근,루트,root의 존재성과 성질에 대해 알 수 있음.
보통 알파벳 D로 표기하며, 그 값은
$D=b^2-4ac$

D>0이면 서로 다른 두 실근
D=0이면 서로 같은 두 실근 (중근)
D<0이면 서로 다른 두 허근


2. 이차방정식의 근의 공식 quadratic_formula

3. 근과 계수의 관계

두 근을 $\alpha, \beta$ 라고 하면
$\alpha+\beta=-\frac{b}{a},\;\alpha\beta = \frac{c}{a}$ 성립.

증명은 간단한 노가다. 위 근의 공식에서 $\alpha = \frac{-b + \sqrt{b^2-4ac}}{2a},\;\beta=\frac{-b-\sqrt{b^2-4ac}}{2a}$ 로 놓고 $\alpha + \beta, \alpha\beta$ 를 계산해 보면 된다.

4. 두 근이 주어졌을 때 이차방정식 만들기

두 수 $\alpha,\;\beta$ 가 주어졌을 때,
$a(x-\alpha)(x-\beta)=0$
여기서 a는 0이 아닌 실수.

거꾸로 이차방정식을 복소수,complex_number의 범위에서 인수분해,factorization해서 $a(x-\alpha)(x-\beta)=0$ 꼴로 만들 수 있다.

5. 관련 곡선

7. 어원

2차(quadratic)라는 이름은, 한 변의 길이가 x인 정사각형의 넓이가 x2이기 때문에, 정사각형을 뜻하는 라틴어 quadratius에서 유래. (Ivan Savov p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