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건부확률질량함수,conditional_probability_mass_function,conditional_PMF

Difference between r1.4 and the current

@@ -2,19 +2,29 @@

[[이산확률변수,discrete_random_variable]] X 의 [[확률질량함수,probability_mass_function,PMF]]가 $p_X(x)$ 이고, [[사건,event]] $C$ 는 0이 아닌 확률(nonzero probability), 즉 $P[C]>0$ 이다.
'''조건부확률질량함수 conditional pmf''' of X는
[[이산확률변수,discrete_random_variable]] $X$
[[확률질량함수,probability_mass_function,PMF]]가 $p_X(x)$ 이고,
[[사건,event]] $C$ 는 0이 아닌 확률(nonzero probability), 즉 $P[C]>0$ 이다.
'''조건부확률질량함수 conditional pmf''' of $X$
$p_X(x|C)=P[X=x|C],\;\;\;x\in\mathbb{R}$
여기에 [[조건부확률,conditional_probability]]을 적용하면,
$p_X(x|C)=\frac{P[\left{X=x\right}\cap C]}{P[C]}$

(Leon-Garcia 3.4.1)
----
$X,Y$ 는 [[표본공간,sample_space]] $S$ 위의 두 [[이산확률변수,discrete_random_variable]]다. $\mathrm{P}(X=x)>0$ 일 때 $X=x$ 인 조건 하에서 '''왜?''' ....
조건부 분포함수:
'''조건부 확률질량함수''':
(수학백과 정의)

----
Compare:
[[결합확률질량함수,joint_probability_mass_function,joint_PMF]]
[[조건부확률밀도함수,conditional_probability_density_function,conditional_PDF]]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38190&cid=47324&categoryId=47324 수학백과: 조건부 확률질량함수]]

Up:
[[조건부,conditional]]
[[확률질량함수,probability_mass_function,PMF]]
[[조건부확률,conditional_probability]]



조건부 확률 질량 함수, conditional probability mass function

이산확률변수,discrete_random_variable $X$
확률질량함수,probability_mass_function,PMF$p_X(x)$ 이고,
사건,event $C$ 는 0이 아닌 확률(nonzero probability), 즉 $P[C]>0$ 이다.

조건부확률질량함수 conditional pmf of $X$
$p_X(x|C)=P[X=x|C],\;\;\;x\in\mathbb{R}$
여기에 조건부확률,conditional_probability을 적용하면,
$p_X(x|C)=\frac{P[\left{X=x\right}\cap C]}{P[C]}$

(Leon-Garcia 3.4.1)

$X,Y$표본공간,sample_space $S$ 위의 두 이산확률변수,discrete_random_variable다. $\mathrm{P}(X=x)>0$ 일 때 $X=x$ 인 조건 하에서 왜? ....
조건부 분포함수:
조건부 확률질량함수:
(수학백과 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