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속도론,chemical_kinetics

화학 반응 속도론, 반응 속도론, reaction kinetics, chemical kinetics
화학반응,chemical_reaction 속도(rate, 농도변화÷시간) 에 대한 이론


1. basics

1.1. 인자

온도와 농도 등
농도가 진함 → 유효 충돌 횟수 증가 → 반응 속도 빨라짐
관련: 반응 단계, 속도결정단계, 유효 충돌

1.2. 단어


전이 상태 transition state
활성화물 activated complex
촉매 작용 catalysis
촉매 catalyst
catalytic 촉매의, 촉매작용의


반감기는 $[{\rm A}]=\frac{[{\rm A_0}]}{2}$ 가 되는 t이며,
즉 A의 농도가 초기 농도 A0의 절반이 되는 시간이며,
기호는 $t_{1/2}$ 인게 맞는지 CHK

2. 시작

일단
단어정리:
반응속도론은 영어로 kinetics(운동학)이며, 여기서 속도는 rate이다. (speed라고도 하지만 velocity는 절대 아님)
반응속도 reaction rate 반응속도,reaction_rate
반응속도상수 reaction rate constant = 속도상수 rate constant (= 반응상수 ? reaction constant ??? ) - k, k(T) 속도상수,rate_constant
속도법칙 rate law 속도법칙,rate_law
반응속도식 rate equation
반응차수 reaction order - 보통 알파벳 m, n 등으로 표기
individual order
전체반응차수 overall reaction order (전반응차수) - n+m+...
반응 차수에 따라,
영차반응 zero-order reaction - 반응속도가 반응물농도와 무관
일차반응 first-order reaction - 반응속도가 한 가지 반응물농도에만 의존
-Δ[A]/Δt=k[A]
이차반응 second-order reaction - 반응속도가 한 반응물농도의 제곱에 비례하거나, 서로 다른 두 반응물 농도의 곱에 비례
-Δ[A]/Δt=k[A]2
n차반응
활성화에너지 activation energy - Ea 활성화에너지,activation_energy
아레니우스 식 Arrhenius equation 아레니우스_식,Arrhenius_equation

3. 반응속도 rate, reaction rate

평균반응속도 average rate
순간반응속도 instantaneous rate


4. 반응속도식 rate equation

속도식의 종류는 두가지

4.1. 미분속도식 differential rate law

AKA 미분형 속도 법칙
또는 단순히 속도식 rate law

반응속도가 농도에 어떻게 의존하는가?
속도의 농도에 대한 의존성

반응속도 = f(농도)
rate = f(concentration)
$r=f(C)$

속도 = $-\frac{\Delta\textrm{[NO_2]}}{\Delta t}=k[{\rm NO}_2]^n$

4.2. 적분속도식 integrated rate law

AKA 적분형 속도 법칙

농도가 시간에 어떻게 의존하는가?
농도의 시간에 대한 의존성

농도 = f(시간)
concentration = f(time)
$C=f(t)$

적분형속도법칙은 반응식에서 초기농도 $[{\rm A}]_0$ 를 시간 t에서의 농도 $[{\rm A}]_t$ 와 연관시킨다.
따라서 $k$ (속도상수,rate_constant), $t,$ $[{\rm A}]_0,$ $[{\rm A}]_t$ 중 세 개를 알면 나머지 한 변수를 알 수 있다.



5. 반응차수 reaction order 와 미분형/적분형 속도 법칙 differential/integrated rate law


5.1.

$r=$ 속도
반응차수 미분형속도법칙 적분형속도법칙
영차반응 $r=\frac{-\Delta[{\rm A}]}{\Delta t}=k$ $[{\rm A}]_t=-kt+[{\rm A}]_0$
일차반응 $r=-\frac{\Delta[{\rm A}]}{\Delta t}=k[{\rm A}]$ $\ln[{\rm A}]_t=-kt+\ln[{\rm A}]_0$
이차반응 $r=-\frac{\Delta[{\rm A}]}{\Delta t}=k[{\rm A}]^2$ $\frac1{[{\rm A}]_t}=kt+\frac1{[{\rm A}]_0}$
(Brown 13e)

0차반응 1차반응 2차반응
(미분)속도법칙 $-\frac{d[{\rm A}]}{dt}=k$ $-\frac{d[{\rm A}]}{dt}=k[{\rm A}]$ $-\frac{d[{\rm A}]}{dt}=k[{\rm A}]^2$
적분속도법칙 $[{\rm A}]=[{\rm A}]_0-kt$ $[{\rm A}]=[{\rm A}]_0e^{-kt}$ $\frac1{[{\rm A}]}=\frac1{[{\rm A}]_0}+kt$
속도상수 k의 단위 M/s 1/s 1/(M·s)
Linear plot to determine k $[{\rm A}]$ vs $t$ $\ln([{\rm A}])$ vs $t$ $\frac1{[{\rm A}]}$ vs $t$
반감기,half-life $t_{\frac12}$ $\frac{[{\rm A}]_0}{2k}$ $\frac{\ln2}{k}$ $\frac1{k[{\rm A}]_0}$
See also 속도법칙,rate_law; Table from WpEn:Rate_equation

6. 속도법칙

패턴: ... CHK
각 n차 반응에 대해,
(변화율) = k(초기농도)n 식을 쓰고
변수분리하고
양변을 적분한다.
끝에서는 x축을 시간 t로 하는 그래프를 그린다.
그리고 반감기도 구한다.

이 섹션에 대해선 별도의 페이지도 있으므로 같이 참조. (속도법칙,rate_law)

6.1. 일차반응 first order reaction

반응속도,reaction_rate가 한 반응물 농도의 1제곱에만 의존하는 반응.
A → 생성물
형태의 반응에서 일차 반응 속도 법칙은
속도 = $-\frac{\Delta[{\rm A}]}{\Delta t}=k[{\rm A}]$
Rate(왜 부호,sign가 달라짐?) = $\frac{d[{\rm A}]}{dt}=-k[{\rm A}]$
$\int\nolimits_{[{\rm A}]_0}^{[{\rm A}]}\frac{d[{\rm A}]}{[{\rm A}]}=-k\int\nolimits_0^tdt$
$\ln[{\rm A}]_t-\ln[{\rm A}]_0=-kt$
$[{\rm A}]=[{\rm A}]_0e^{-kt}$
$\ln\frac{[{\rm A}]_t}{[{\rm A}]_0}=-kt$
$\ln[{\rm A}]_t=-kt+\ln[{\rm A}]_0$

$\begin{array}(\ln[{\rm A}]_t)&=&(-k)t&+&(\ln[{\rm A}]_0)\\ \updownarrow&&\updownarrow&&\updownarrow\\y&=&mx&+&b\end{array}$

일차반응에서 시간에 대한 $\ln[{\rm A}]_t$ 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k,$ y절편이 $\ln[{\rm A}]_0$ 인 직선이다.

6.2. 이차반응 second order reaction

전체반응차수가 2차인 반응. A→생성물 또는 A+B→생성물 형태.
반응물이 한가지인 경우 즉
A→생성물 (만 살펴보는 듯 한데..)
에서 A에 대해 이차반응일 때, 속도법칙,rate_law
속도 = $-\frac{\Delta[{\rm A}]}{\Delta t}=k[{\rm A}]^2$
Rate = $\frac{d[{\rm A}]}{dt}=-k[{\rm A}]^2$
$-\int\nolimits_{[{\rm A}]_0}^{[{\rm A}]}\frac{d[{\rm A}]}{[{\rm A}]^2}=k\int\nolimits_0^t dt$
$\left.\frac1{[{\rm A}]}\right|_{[{\rm A}]_0}^{[{\rm A}]}=\frac1{[{\rm A}]}-\frac1{[{\rm A}]_0}=kt$
$\frac1{[{\rm A}]_t}=kt+\frac1{[{\rm A}]_0}$

$\begin{array}(\frac1{[{\rm A}]_t})&=&(k)t&+&(\frac1{[{\rm A}]_0})\\ \updownarrow&&\updownarrow&&\updownarrow\\y&=&mx&+&b\end{array}$

이차반응에서 시간에 대한 $1/[{\rm A}]_t$ 의 그래프는
기울기가 $k,$ y절편이 $1/[{\rm A}]_0$ 인 직선.

6.3. 영차 반응 zero order reaction

전체 반응 차수가 0인 반응. A의 반응속도가 [A]와 무관.
속도 = $\frac{-\Delta[{\rm A}]}{\Delta t}=k[{\rm A}]^0=k$
적분하면
$[{\rm A}]_t=-kt+[{\rm A}]_0$

영차반응에서 시간에 대한 $[{\rm A}]_t$ 그래프는
기울기가 $-k,$ y절편이 $[{\rm A}]_0$ 인 직선.

(이상 1~3차반응: Brown 13e)

6.4. 1차반응 적분속도법칙

적분속도법칙(integrated rate law)
어떤 시간 t에 남아 있는 반응물 농도를 계산할 수 있게 하는 농도-시간 식.
1차반응(first-order reaction) : 속도가 단일 반응물 농도의 1제곱에 의존하는 반응
A → 생성물 반응에서
A의 소모 속도 $=-\frac{\Delta [{\rm A}]}{\Delta t}=k[{\rm A}]$
$\frac{\Delta [{\rm A}]}{[{\rm A}]}=-k \Delta t$
$\frac{\partial [{\rm A}]}{[{\rm A}]}=-k \partial t$
$\int_{[{\rm A}]_0}^{[{\rm A}]_t}\frac{\partial [{\rm A}]}{[{\rm A}]}=-k\int_0^t\partial t$
$\ln[{\rm A}]_t=-kt+\ln[{\rm A}]_0$

$\ln\frac{[{\rm A}]_t}{[{\rm A}]_0}=-kt$ (1차반응의 적분속도법칙)

$\ln[{\rm A}]\leftrightarrow t$ 의 그래프를 그리면 y절편이 $\ln[{\rm A}]_0$ 이고 기울기가 $-k$ 인 감소하는 직선 형태.
(항공대)

6.5. 1차반응 반감기

반감기,half-life
: 반응물의 농도가 절반으로 떨어지는 데 걸리는(필요한) 시간
기호 $t_{1/2}$
일차반응속도법칙
$\ln\frac{[{\rm A}]_t}{[{\rm A}]_0}=-kt$
$t=t_{1/2}$ 일 때, $[{\rm A}]_t=\frac12 [{\rm A}]_0$
$\ln\frac12 = -kt_{1/2}$
$t_{1/2}=\frac{-\ln\frac12}{k}=\frac{\ln 2}{k}=\frac{0.693}{k}$
일차반응의 반감기는 반응물 농도와 무관하고 속도상수에만 의존하므로 일정하다.


1차 반응의 반감기 유도
농도(C)가 처음 농도(C0)의 1/2가 될때까지 걸리는 시간, 즉
$C=\frac{C_0}{2}$
일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반감기.
$\ln\left(\frac{C}{C_0}\right) = \ln\left(\frac{C_0/2}{C_0}\right) = -\ln2=-kt$
$t_{1/2}=\frac{\ln2}{k}=\frac{0.693}{k}$

6.6. 2차반응 적분속도법칙

적분속도법칙: 2차반응(second-order reaction)

A → 생성물 반응에서
A의 소모 속도 $=-\frac{\Delta [{\rm A}]}{\Delta t}=k[{\rm A}]^2$
$\frac{\Delta [{\rm A}]}{[{\rm A}]^2}=-k \Delta t$
$\frac{\partial [{\rm A}]}{[{\rm A}]^2}=-k \partial t$
$\int_{[{\rm A}]_0}^{[{\rm A}]_t}\frac{\partial [{\rm A}]}{[{\rm A}]^2}=-k\int_0^t\partial t$
$\frac{1}{[{\rm A}]_t}-\frac{1}{[{\rm A}]_0}=kt$
$\frac{1}{[{\rm A}]_t}=kt+\frac{1}{[{\rm A}]_0}$ (y=mx+b 꼴) (2차반응의 적분속도법칙)

$1/[{\rm A}]$ 대 시간의 그래프는 증가하는 직선.
직선의 기울기는 속도상수 k. y절편은 $1/[{\rm A}]_0$ .

6.7. 2차반응 반감기

2차반응에서의 반감기

$[{\rm A}]_t=[{\rm A}]_0/2,\;t=t_{1/2}$ 를 대입하면
$\frac{1}{\left(\frac{[{\rm A}]_0}{2}\right)}=kt_{1/2}+\frac{1}{[{\rm A}]_0}$
$t_{1/2}=\frac1k\left( \frac2{[{\rm A}]_0} - \frac1{[{\rm A}]_0} \right)$
$t_{1/2}=\frac1{k[{\rm A}]_0}$

2차반응 반감기는 속도상수와 초기농도에 의존.


6.8. 0차반응

추가로...
0차반응은
$\frac{-\Delta [{\rm A}]}{\Delta t}=k$
$\Delta [{\rm A}]=-k\Delta t$
$[{\rm A}]_t-[{\rm A}]_0=-kt$

$[{\rm A}]_t$ vs t 그래프:
기울기 -k, y절편은 $[{\rm A}]_0$

영차반응의 반감기를 구하면
$\frac12[{\rm A}]_0-[{\rm A}]_0=-kt_{1/2}$ ????? CHK
아무튼
$t_{1/2}=\frac{[{\rm A}]_0}{2k}$

7. 충돌분율 f

충돌분율 $f$
$f=e^{-E_a/RT}$
여기서
$R$ = 기체상수,gas_constant
$T$ = 절대온도
$E_a$ = 활성화에너지,activation_energy
$f$ 는 매우 작은 값임.

8. 입체인자 p

입체 인자(steric factor) $p$
반응물에서 생성물로 변화되기에 적절한 배향(orientation)을 가지는 충돌의 분율

$\textrm{A, B}$ 분자 사이의 이분자 충돌반응에서
충돌속도 = $Z[\textrm{A}][\textrm{B}]$
반응속도 = p × f × 충돌속도
$=pfZ[\textrm{A}][\textrm{B}]=k[\textrm{A}][\textrm{B}]$
속도상수 = $k=pfZ=pZ\exp(-E_a/RT)$

9. 반응 메커니즘

반응 메커니즘 (reaction mechanism)

A reaction mechanism is a description of a path, or a sequence of steps, by which a reaction occurs at the molecular level. (Masterton)
반응물에서 생성물까지의 반응 단계 순서 (경로)
한 단계는 단일단계반응(elementary reaction) or 단일단계(elementary step)
  • 단일단계반응(elementary reaction) - 각 개별 분자의 사건을 기술
  • 전체반응(overall reaction) - 반응의 화학량론을 기술

단일단계는
unimolecular A→B+C
bimolecular A+B→C+D
termolecular A+B+C→D+E
???? tmp; masterton.

가장 느린 단계가 속도를 좌우. (the slow step is rate-determining)


반응중간체(reaction intermediate) : 전체 반응의 알짜 반응식에는 나타나지 않음

10. 촉매작용 catalysis

촉매반응

homogeneous catalysis: 반응물과 같은 phase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