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립일차방정식,system_of_linear_equations

AKA 선형방정식계, 선형연립방정식

해의 개수와...

일반적으로, 연립일차방정식에 대하여 다음 중 하나가 성립한다.
  1. 유일한 해를 갖는다.
  2. 해를 갖지 않는다.
  3. 무수히 많은 해를 갖는다.
즉 해의 개수는 {0, 1, ∞} 셋 중 하나. 다른 가능성은 없음.
이건 선형시스템해집합,solution_set카디널리티,cardinality가 세 종류밖에 없다는 것? - CHK

연립방정식이 일치(consistent) : 하나 이상의 해가 있음
연립방정식이 불일치(inconsistent) : 해가 없음

해가 있으면 consistent
해가 없으면 inconsistent

해,solution의 개수에 따라 세 가지 경우:
consistent (한 해)
consistent (무한히 많은 해) .... TBW 부정방정식,indeterminate_equation과 관계
inconsistent (해 없음)

선형방정식계를 해의 개수에 따라 분류하는 것? - chk
해가 없음 0 inconsistent
해가 있음, 오직 한 개 1 consistent
해가 있음, 무수히 많이 consistent
위 표의 마지막 열은 다시 말해
해가 존재 : consistent
해가 없음 : inconsistent


https://i.imgur.com/OMDQ4tH.png



표기법으로 행렬표기법이 있는데 (matrix_notation)
변수들의 계수,coefficient를 가지고 행렬,matrix로 표현하는 것.
그것이
계수행렬,coefficient_matrix
이고, 상수항까지 (오른쪽에?) 포함시키면
첨가행렬,augmented_matrix
CHK



....이하 CHK
그리고 변형 과정에서 유일한 해를 갖는지, 해를 가지지 않는지를 알 수 있으며
선행성분의 수 r (계수,rank?) 과 미지수의 수 n의 크기비교도 중요
내용은 다음 사이트 참조.
see https://wikidocs.net/75296


2. 표현

일치와 불일치: 위에서 해의 개수와 관련되므로, 그 바로 뒤에 언급했음.
(또 다른 번역은
모순이 없다(consistent): 연립방정식이 적어도 하나의 해를 가짐(즉 유일해 또는 무한히 많은 해를 가짐)
모순이 있다(inconsistent): 해를 갖지 않음
이것은 Kreyszig Ch7)

제차와 비제차: 중요해서 밑에 section이 있음.

과잉한정(overdetermined): 연립방정식이 미지수보다 더 많은 방정식을 가짐
과소한정(underdetermined): 미지수보다 적은 방정식을 가짐

(Kreyszig Ch7)

3. 선형시스템의 동치 equivalence

선형연립방정식(선형시스템)동치,equivalence란 두 선형시스템이 같은 해집합,solution_set을 갖는 것.

4. 행렬의 가역성과 방정식의 해 사이 관계

n차 정사각행렬 A가 가역이고(따라서 해당하는 역행렬이 있고)
b가 ℝn의 벡터일 때, 연립방정식
Ax=b
는 다음 유일한 해를 가진다.
x=A-1b


(from 고딩 책, easy, del ok)

역행렬,inverse_matrix연립일차방정식해,solution. 방정식
$\begin{pmatrix}a&b\\c&d\end{pmatrix}{x\choose y}={p\choose q}$
에서,
$ad-bc\ne 0$ 일 때, 오직 한 쌍의 해가 (다음 식) 존재한다.
$\binom{x}{y}=\begin{pmatrix}a&b\\c&d\end{pmatrix}^{-1}\binom{p}{q}$
$ad-bc=0$ 일 때, 해가 무수히 많거나(부정) 해가 없다(불능).

5. 풀기

(행렬)(벡터)=(벡터) 꼴로 먼저 나타낸다.
Ax=b
여기서 A, x, b는 각각 계수행렬coefficient_matrix, 미지수벡터(unknown vector), 상수벡터(constant vector)라 불린다.[1]

A의 역행렬,inverse_matrix A−1을 구해 왼쪽에 곱하면
x=A−1b

물론 저렇게 하려면 A의 역행렬이 존재해야 한다.
(i.e. A가 가역행렬,invertible_matrix = 정칙행렬,regular_matrix = 비특이행렬 non-singular matrix 이어야 한다.)[2]

A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으면,
(i.e. A가 비가역행렬 non-invertible matrix = 특이행렬,singular_matrix = 퇴화행렬,degenerate_matrix{ Google:퇴화행렬 Google:degenerate_matrix } 이면,)
TBW

5.1. ERO

선형대수,linear_algebra적 방법...
계수행렬...보다는 첨가행렬,augmented_matrix로 나타낸 다음
기본행연산,elementary_row_operation,ERO 세 연산들을 사용해서
echelon_form 으로 변환하면 답이 보임.
reduced_echelon_form(REF) 으로까지 변환하면 더 명확히 보임.


5.2. Ax=b 풀이법 ... CHK TMP CLEANUP DELME

// https://blog.naver.com/lado135/221879792739 (1)
// https://blog.naver.com/lado135/221884748041 (2)
Ax=b의 해가 존재하기 위한 조건:
1. b가 A의 열공간,column_space안에 있다.
2. 어떤 A의 행의 조합이 영행을 만든다면, 같은 조합으로 b도 0(?)을 만들어야 한다.
둘은 같은 말이라고.

미지수가 식보다 많을 경우 모든 해,solution을 찾는 법.
$X_p$ : particular solution
$X_c$ : complete solution
$X_n$ : nullspace solution - see 영공간,null_space
free variables에 0을 넣어서 back substitution을 통해 particular solution $(X_p)$ 을 구한다.
다음 $X_{complete}:X_{particular}+X_{nullspace}$
(CLEANUP)

6. 제차연립방정식과 비제차연립방정식

$n$ 개의 미지수 $x_1,x_2,\cdots,x_n$ 을 갖는 $m$ 개의 선형연립방정식
$\begin{matrix} a_{11}x_1&+&\cdots&+&a_{1n}x_n &=& b_1 \\ a_{21}x_1&+&\cdots&+&a_{2n}x_n &=& b_2 \\ &&\vdots&& \\ a_{m1}x_1&+&\cdots&+&a_{mn}x_n &=& b_m \end{matrix}$
여기서
$b_j$ 가 모두 0이면 제차연립방정식(homogeneous system),
● 하나라도 0이 아니면 비제차연립방정식(nonhomogeneous system).

제차이면, 자명한 해 $x_1=x_2=\cdots=x_n=0$ 이 있음.

7. 특이해와 제차해

연립일차방정식,system_of_linear_equations해,solution: 특이해와 제차해
예를 들어
$\begin{cases}ax+by=p\\cx+dy=q\end{cases}$

$A=\begin{bmatrix}a&b\\c&d\end{bmatrix},A\begin{bmatrix}x\\y\end{bmatrix}=\begin{bmatrix}p\\q\end{bmatrix}$
A가 정칙이면, ↔
$\begin{bmatrix}x\\y\end{bmatrix}=A^{-1}\begin{bmatrix}p\\q\end{bmatrix}$

A가 정칙이 아니면
$ad-bc=0$
$ad=bc$
$a:b=c:d$
즉 두 직선이 collinear.

두 직선이 일치함(해가 무수히 많음)을 가정하면, 이 연립방정식의 무수히 많은 모든 해를 특이해와 제차해의 조합으로 표현 가능.

특이해: 다음을 만족하는 $(x_0,y_0)^t$
$A\begin{bmatrix}x_0\\y_0\end{bmatrix}=\begin{bmatrix}p\\q\end{bmatrix}$

제차해: 위 식에서 우변 상수를 0으로 했을때의 해 $(x_1,y_1)$ (단 $x_1$$y_1$ 중에 적어도 하나는 0이 아님. 책에선 $(x_1,y_1)\ne(0,0)$ 으로 표기.)
$A\begin{bmatrix}x_1\\y_1\end{bmatrix}=\begin{bmatrix}0\\0\end{bmatrix}$

임의의 상수 c에 대해, 다음 $(x,y)$ 는 모두 원래 방정식의 해가 됨
$\begin{bmatrix}x\\y\end{bmatrix}=\begin{bmatrix}x_0\\y_0\end{bmatrix}+c\begin{bmatrix}x_1\\y_1\end{bmatrix}$
이것은 A를 곱하면 확인 가능
$A\begin{bmatrix}x\\y\end{bmatrix}=A\begin{bmatrix}x_0\\y_0\end{bmatrix}+cA\begin{bmatrix}x_1\\y_1\end{bmatrix}=\begin{bmatrix}p\\q\end{bmatrix}$

직선으로 나타내면
특이해는 직선상의 한 점에 대응
제차해는 직선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에 대응

(나카이 에츠지)

8. 수반동차연립방정식

associated homogeneous system of linear equation
Ax=b에 대해 Ax=0을 뜻함. https://wikidocs.net/75598 의 5. 참조.
수반동차연립방정식의 해는 일차연립방정식의 해에 특수해를 더해 얻는다고.

9. 선형연립방정식과 수반동차연립방정식의 해집합 사이의 관계

선형연립방정식의 해가 유일함
수반동차연립방정식의 해가 유일해서 영벡터밖에 없음
선형연립방정식의 해가 무수히 많음
수반동차연립방정식이 자명하지 않은 해를 가짐
선형연립방정식의 해가 존재하지 않음
수반동차연립방정식의 해공간과 별도로 특수한 해 x0가 없다는 것
from https://wikidocs.net/75791; C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