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극,polarization

TODO
{
분극,polarization과 합쳐야..? 하나를 redirect 페이지로? 아님 둘을 각각 포커스를 나누어 사용? Google:분극 편극 Naver:분극 편극
같은 현상을 칭하는 것임은 확실하고, 한자를 보면 분극=分極, 편극=偏極 즉 각각 '나누어짐', '치우쳐짐'의 뜻으로 번역한 것인데
따라서 (움직일 수 있는) '전자'의 입장에서 보면 편극이 어울리며, 양쪽이 동등한 '성질'(+/-, N/S)의 입장에서 보면 분극이 어울리는...? chk, tbw (2022-06-23)
편극밀도,polarization or polarization_density 을 분리해야 할수도?? Google:편극밀도 Google:polarization.density

이 영단어 polarization 는 '편광'에도 쓰임 .. Srch:편광보면 광학,optics에서 언급중인데. Google:편광 Ndict:편광
polarization (of light) 가 편광.

한국어 편광은 편광 (현상) 뿐만 아니라 편광현상에 의해 편광된 빛 polarized_light 에도 쓰임.

polarizer - 이건 광학쪽에만 해당? Google:polarizer
}

대충
편극: 일시적으로 +,-가 나뉘는 현상
쌍극자: +,-가 나뉘어 있는 입자
편극밀도: 쌍극자모멘트의 합 나누기 부피
이것을 줄여서 편극이라고도 함
인듯? CHK



1. Misc + 여러 인터넷 자료들

see and merge/mv from 편극,유발쌍극자,런던힘,분산력
이 페이지 만들고 나서 분극,polarization 페이지가 있음을 발견, merge?
대개 생물학쪽에선 분극이라고 하는듯?


전기장 안에 원자를 두면 핵이 약간 (-)쪽으로, 전자구름이 약간 (+) 쪽으로 쏠릴(치우쳐질) 것임. 그래서 내부에 작은 전기장이 형성. 그리고 외부 E가 너무 크지 않으면 평형을 이룸. 이걸 편극되었다고 함. 그리고 p는 E에 비례.
$\vec{p}=\alpha\vec{E}$

원자 하나가 아니라 원자들을 넣고, 단위 부피 안에 든 쌍극자 모멘트(의 합?)은 대문자 P.
$\vec{P}$

[https]src CHK

.......

편극=편극밀도
[https]src CHK

.........

이름이 밀도이므로, 공간상에 얼마나 들어있느냐에 대한 것. 들어있는 것은 편극된 쌍극자.
$\vec{P}=\frac{\sum \vec{p_i}}{V}$
= (쌍극자모멘트의 합) / (단위부피)
벡터를 더한 것이므로 벡터임.


[https]src CHK

유전율,permittivity(DE에서 ε)은 전기장에 따른 물질의 편극 크기에 따라 결정.
진공에선 편극이 일어나지 않음.
([https]src) CHK


편극 벡터:
$\vec{P}=\epsilon_0 \chi_e \vec{E}$
여기서
$\chi_e$ : electric_susceptibility(전기 감수율), curr. goto 비율,rate;
전기장에 대한 감수율,susceptibility
값이 클수록 편극이 잘 일어남
자성체의 자화율,magnetic_susceptibility(=자기감수율)과 비교됨

???
$\vec{D}=\epsilon_0\vec{E}+\vec{P}$

2. 편극밀도 여기에 서술 중 ...


기호: $\vec{P}$

편극밀도 ≡ 단위 부피당 쌍극자 모멘트
= dipole moment per unit volume
= 쌍극자모멘트,dipole_moment / 부피 // QQQQ: 전기쌍극자? 자기쌍극자? p니까 전기인듯?
= 전기쌍극자모멘트,electric_dipole_moment / 부피

$\vec{P}=\frac{\vec{p}}{V}$
$\vec{p}=\int_V\vec{P}(\vec{r'})d\tau$
알프라임, 타우는 뭔지 확실히...



cf.
$\vec{D}=\epsilon_0\vec{E}+\vec{P}$


유전체,dielectric 안의 전기쌍극자모멘트,electric_dipole_moment의 밀도와 관련된 벡터장,vector_field임.
쌍극자모멘트 p, 편극밀도(분극밀도) P, 부피 V
$\vec{P}=\frac{d\vec{p}}{dV}$

유전체(dielectric material)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편극밀도 P는 전기장 E에 비례
$\vec{P}=\chi\epsilon_0\vec{E}$

전하밀도,charge_density 관련.
total charge density $\rho$
free charge density $\rho_f$
bound volumetric charge density $\rho_b$
(참고, 기타
free surface charge density $\sigma_f$
bound surface charge density $\sigma_b$
)일 때
$\rho_f=\rho-\rho_b$
이것은 다음 식으로 바꿀 수 있다 함
$\vec{D}=\epsilon_0\vec{E}+\vec{P}$




3. 관련


polarizability 편극성
분자/원자내의 전자들이 한쪽으로 쏠리기 쉬운 정도? CHK
분자의 크기가 클수록, 전자가 많을수록, 몰질량(분자량)이 증가할수록 분자의 분극성은 증가 CHK

유도쌍극자,induced_dipole curr goto 유도,induction

편극과 쌍극자,dipole의 차이:
편극은 +와 -가 고정돼 있는 게 아님 (일시적으로 어긋난?)
쌍극자는 고정돼 있음.....CH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