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턴스,inductance

AKA 유도계수, 유도용량

기호:
단위: H (henry)
1H : 1A의 전류,electric_current에 대해 1T·m2의 자기플럭스(자속,magnetic_flux)가 만들어지는 인덕턴스
단위 유도:
인덕턴스의 차원은 Φ/I = 자속/전류, 자속의 단위는 Wb = T·m2 이고 전류의 단위는 A, 따라서 인덕턴스의 단위는 Wb/A 또는 T·m2/A
NΦ=LI에서 Φ=BA이므로, NBA=LI, L=NBA/I, (B의 단위는 T, A의 단위는 m2, I의 단위는 A) 따라서 L의 단위는 T m2 A-1
$V=-L\frac{\Delta I}{\Delta t}$ 이므로 $L$ 의 단위는 $1\frac{\mathrm{V}\cdot\mathrm{s}}{\mathrm{A}}=1\mathrm{H}$

자속,magnetic_flux의 변화를 방해하는 작용의 세기
정의: 유도기에 감겨 있는 도선에 전류 i를 흐르게 하면, 중간에 자기 다발 ΦB가 통과한다. 이 때 유도기의 유도용량 L은
$L\equiv\frac{N\Phi_B}{i}$
다시 말해
$N\Phi_B=Li$
패러데이_법칙,Faraday_s_law와 위 식에 의해
마이너스 부호는 렌츠_법칙,Lenz_s_law

실제 기기(소자):
유도기,inductor
어찌저찌 전류변화를 방해하는 (?) 방향으로 유도전압이 발생, 이것이 인덕턴스라고 ... CHK

회로의 빠른 전류 변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함
그리하여 짧은 시간에 자주 변하는 고주파를 제거하는 high band pass filter에 쓰임
회로의 내부(폐곡면) 면적을 줄여서 인덕턴스를 낮출 수 있음
CHK

코일의 인덕턴스(L)와 전류의 시간변화율은 유도전압을 결정
$v=L\frac{di}{dt}$
CHK

인덕턴스 L인 인덕터에 I의 전류가 흐르면 저장되는 에너지는
$E=\frac12LI^2$
CHK

자체 인덕턴스 (self-inductance) L
상호 인덕턴스 (mutual inductance) M
유도 인덕턴스? (see RL회로,RL_circuit)


CHK

self inductance
$\mathcal{E}=-L\frac{dI}{dt}=-N\frac{d\Phi}{dt}\;[{\rm V}]$
$LI=N\Phi$
$L=\frac{N\Phi}{I}\;[{\rm H}]$

mutual inductance
$\mathcal{E}=-N\frac{d\Phi}{dt}=-M\frac{dI}{dt}\;[{\rm V}]$






1. from wpen

$L=\frac{\Phi}{i}$
N회 감은 코일이라면,
$L=N\frac{\Phi}{i}$

2. tmp

코일,coil 에 흐르는 전류 $I$자속,magnetic_flux $\Phi$ 를 발생시킨다.
$\Phi=LI$
N회 감았다면,
$N\Phi=LI$

3. from 황종승

$\mathcal{E}_{\mathrm{L}}=-\frac{\operatorname{d}\Phi_{\mathrm{B}}}{\operatorname{d}t}=-L\frac{\operatorname{d}I}{\operatorname{d}t}$

L의 단위: H (henry)



코일에 전류가 흐르면 코일 속에 자기장이 생긴다. 전류를 변화시키면 코일을 통과하는 자속,magnetic_flux도 변하여 코일에 유도기전력,induced_emf이 나타난다. 렌츠의 법칙에 의해 유도기전력은 전류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나타난다. 유도기전력의 크기는 전류의 시간변화율(dI/dt)에 비례한다.
$E=-L\frac{dI}{dt}$
여기서
$E$ : 유도기전력
$L$ : 인덕턴스

4. 단위 유도법

N Φ = L I 에서 L에 대해 정리
1 T m2 A-1 = 1 H

1 H = 1 Wb/A


5. tbw

역학,mechanics관성,inertia에 비유되는데, 정확히 수식 같은걸로 표현 가능한지 아님 느낌으로 받아들이는게 좋은지... tbw

6. See also

패러데이_법칙,Faraday_s_law (전자기 유도 법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