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KA wavefunction
파동량을 공간, 시간에 대한 함수로서 기술할 수 있다. complex-valued_function임.
기호
(슈뢰딩거_방정식,Schroedinger_equation 등 파동방정식의 해인) "파동함수를 제곱,square하면 입자,particle의 존재확률이지만, 파동함수 그 자체의 값은 의미를 알 수 없음" chk; from https://blog.naver.com/cwhaha/70074757638
//물백
양자역학,quantum_mechanics에서 양자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소함수. 상태함수,state_function라고도 한다. 1. 물리에서? 2. 그럼 파동함수는 상태함수의 일종?
물질의 파동성 때문에 계(양자계?)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파동의 진행(propagation? Wave_propagation 이거?)과 비슷하며 슈뢰딩거_방정식,Schroedinger_equation으로 기술된다.
QM의 표준해석인 통계적 해석 즉 코펜하겐_해석,Copenhagen_interpretation에 따르면, 파동함수의 절대값 제곱은 물질이 입자성을 가지고 어떤 위치에서 발견될 확률밀도(rel.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_density_function,PDF)를 알려준다.
....(2. 복소함수, 중첩) 파동함수는 복소함수인데 복소함수는 크기magnitude? 뿐만 아니라 위상,phase을 가지고 있으므로 파동의 중요한 성질인 간섭,interference을 잘 기술할 수 있다. 파동방정식,wave_equation은 선형방정식,linear_equation이므로 복소함수는 벡터,vector와 비슷한 성질을 많이 갖고 있다. 두 파동함수의 합 및 이를 일반화한 여러 파동함수의 선형결합,linear_combination으로 파동함수를 만들 수 있다. 복소함수의 선형결합은 위상차,phase_difference 때문에 상쇄되어 전체 함수의 크기가 작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성질을 중첩,superposition이라고 한다. / 이러한 함수들의 집합은 수학에서 힐베르트_공간,Hilbert_space으로 잘 알려져 있다.
....(3. 통계적 해석)....
똑같은 양자계가 여러 개 있다고 가정하자. 이를 앙상블,ensemble이라 한다. ....
양자역학,quantum_mechanics에서 양자계의 상태를 나타내는 복소함수. 상태함수,state_function라고도 한다. 1. 물리에서? 2. 그럼 파동함수는 상태함수의 일종?
물질의 파동성 때문에 계(양자계?)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파동의 진행(propagation? Wave_propagation 이거?)과 비슷하며 슈뢰딩거_방정식,Schroedinger_equation으로 기술된다.
QM의 표준해석인 통계적 해석 즉 코펜하겐_해석,Copenhagen_interpretation에 따르면, 파동함수의 절대값 제곱은 물질이 입자성을 가지고 어떤 위치에서 발견될 확률밀도(rel. 확률밀도함수,probability_density_function,PDF)를 알려준다.
....(2. 복소함수, 중첩) 파동함수는 복소함수인데 복소함수는 크기magnitude? 뿐만 아니라 위상,phase을 가지고 있으므로 파동의 중요한 성질인 간섭,interference을 잘 기술할 수 있다. 파동방정식,wave_equation은 선형방정식,linear_equation이므로 복소함수는 벡터,vector와 비슷한 성질을 많이 갖고 있다. 두 파동함수의 합 및 이를 일반화한 여러 파동함수의 선형결합,linear_combination으로 파동함수를 만들 수 있다. 복소함수의 선형결합은 위상차,phase_difference 때문에 상쇄되어 전체 함수의 크기가 작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성질을 중첩,superposition이라고 한다. / 이러한 함수들의 집합은 수학에서 힐베르트_공간,Hilbert_space으로 잘 알려져 있다.
....(3. 통계적 해석)....
똑같은 양자계가 여러 개 있다고 가정하자. 이를 앙상블,ensemble이라 한다. ....
2. wave page에 있던거 ¶
{
- 파동 함수 자체는 측정하거나 관찰 불가
- 파동 함수의 절대값의 제곱은 특정 위치에서 입자를 발견할 확률 밀도를 알려줌, 이 값에 주변 부피를 곱하면 그 공간에서 입자를 발견한 확률
http://physica.gsnu.ac.kr/phtml/wave/wave/represent/represent.html
오비탈,orbital과 같은 것?
}
3. tmp 1 ¶
/* 1차원 파동함수 wave function을 fourier series로 분석 */
오른쪽(+)으로 진행하는 1-D sinusoidal wave function은 이렇게 표기:
여기서
푸리에_급수,Fourier_series는 기본적으로
1변수 함수에 대한 급수전개(멱급수,power_series 전개,expansion)이다. 따라서
2변수를 갖는 파동함수의 경우 둘 중 하나가 통제된(고정된) 함수를 기저함수,basis_function(curr 기저,basis)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가 각각 인 다음 두 함수를 쓴다.
이걸 실제 파동함수 꼴로 바꿔주면
: 진폭
: 각파동수 angular wave number (see 파수,wavenumber)
: 각진동수 angular frequency (see 각진동수,angular_frequency)
(이상 두 개는 주기,period였음)
바로 위에 두 개 짧게 나온 식으로 저 위에 wave function 식을 다시 쓰면: 각파동수 angular wave number (see 파수,wavenumber)
: 각진동수 angular frequency (see 각진동수,angular_frequency)
(이상 두 개는 주기,period였음)
1변수 함수에 대한 급수전개(멱급수,power_series 전개,expansion)이다. 따라서
2변수를 갖는 파동함수의 경우 둘 중 하나가 통제된(고정된) 함수를 기저함수,basis_function(curr 기저,basis)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주기가 각각 인 다음 두 함수를 쓴다.